국내 수출 주력 상품군의 변화가 예상된다. 정부가 "글로벌 시장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는 품목들을 새로운 수출 주력산업으로 집중 육성하겠다"며 품목 변화를 공개했기 때문이다.
기존 수출 주력품이 자동차'전자'철강'조선 등 규모가 큰 제조업이었다면 앞으로는 화장품'식료품'유아용품'의류 등의 소비재를 신수출 주력산업으로 지정하면서 집중 지원할 뜻을 내비쳤다.
소비재에서 돌파구를 찾기로 한 것은 기존 주력산업의 수출 부진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성장세 둔화, 엔'유로화 약세로 인한 우리 수출품의 가격 경쟁력 하락, 중국 제품과의 경쟁 심화 등이 원인이다.
화장품의 경우 수출 증가율은 올 들어 10월까지 58.2% 증가했고 가공식품 수출도 1.9% 늘어나는 등 새로 부상한 수출 산업이 약진하고 있다. 정부는 앞으로 화장품 연구'개발(R&D) 인력을 육성하기 위한 화장품학과를 개설하고 식료품 한류 마케팅을 강화하는 데 지원키로 했다.
특히 소비재 산업으로는 14억 인구의 중국 내수시장을 공략한다는 복안이다. 정부는 국내 기업들이 중국 내수시장에 원활히 진출할 수 있도록 4조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한다. 이 자금은 중국 기업을 인수합병(M&A)하거나 현지 생산 및 유통망을 구축하는 데 투입된다.
수출금융을 대폭 확대해 무역보증기금, 수출입은행 등을 통한 수출금융 지원 규모를 올해 251조원에서 내년 271조원으로 20조원 늘린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