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비박계에서 유력 인사의 '험지 출마론'을 제기하는 것과 관련, 김무성 대표의 자가당착(自家撞着)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당 지도부는 자기희생 없이 여권 강세 지역구를 지키면서 다른 후보에게 험지출마를 권유하는 것이 이율배반이라는 것이다. 또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를 당론으로 내세우며 이 제도 도입을 주장해온 김 대표가 전략공천이 필수인 험지 출마를 강조하자 당내에서도 "앞뒤가 맞지 않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비박계는 내년 총선 승리를 위한 방법으로 험지 출마 카드를 꺼냈다. 총선 승리 여부는 수도권 결과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에 여당 약세 지역에 대중적 인지도가 있는 정치 거물을 투입해 야당을 이기겠다는 전략이다.
여기에 거론되는 인물이 안대희 전 대법관과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다. 이들은 각각 부산 해운대와 서울 종로 출마를 염두에 뒀으나 김 대표가 최근 차례로 만나 타지역 출마를 권유했다. 비박계로 분류되는 홍일표 의원은 23일 라디오에서 "험지 출마는 당에 도움이 되는 전략적인 판단"이라고 했고, 친이계 권성동 의원도 "두세 번 연속해서 패배한 지역에는 좀 더 지명도가 있는 명망가를 투입해야 승리를 내다볼 수 있다"며 힘을 실었다.
하지만 비박계의 험지 출마 주장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비판도 따른다. 당 지도부는 수도권 초접전 지역이나 호남에 출사표를 던지지 않으면서 주변에만 험지 출마를 권유하고 있어서다. 또 "전략공천은 절대 불가"라는 방침을 고수했던 김 대표가 사실상 다른 형태의 전략공천인 험지 출마를 내세우는 것은 모순이라는 비판도 만만치 않다.
이와 함께 비박계 내에서 험지 범위 설정을 놓고 의견이 나뉘고 있다. 지난 23일 당 중진연석회의에서 이재오 의원은 "정치적 명성을 얻었거나 지역구를 새로 선택하려는 분들은 과감하게 호남에 출마해야 한다"며 "현 정권에서 장관, (청와대) 수석을 하며 정치적 명성을 얻은 분은 호남에 도전해 새누리당의 정치 기반을 닦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당 지도부와 여당 우세지역인 대구경북(TK)에 출마한 청와대 참모 출신 인사를 동시에 겨냥한 말이다.
하지만 김 대표는 "국회의원 후보는 자기 연고지에 출마하는 게 맞다. 서울 같은 대도시는 성격이 다르지만, 전혀 연고가 없는 사람이 단순 사회 명망가라고 해서 호남에 나가야 하는 건 논리에 안 맞다"고 반대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