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사실상 친노(親盧'노무현 전 대통령 지지세력) 진영을 대표하는 정당으로 축소되고 있다.
문재인 대표가 28일 당내 중진과 비주류의 '당 통합을 위한 중재안'(조기 선거대책위원회 구성 및 대표직 사퇴)을 거부함에 따라 비주류의 탈당 도미노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안철수계에 이어 광주지역 국회의원들이 잇따라 당을 떠나고 있고 김한길 전 공동대표를 따르는 의원들과 동교동계(김대중 전 대통령 지지세력)도 들썩이고 있다. 사실상 친노'주류를 제외한 비주류 대부분이 탈당을 염두에 두고 있어 분당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문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제 거취는 제가 정할 것이고 결단도 저의 몫"이라며 "더 이상 제 거취를 둘러싼 논란을 허용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나아가 문 대표는 탈당을 저울질하며 자신의 거취를 압박하고 있는 현역 의원들에게 최후통첩을 날리기도 했다. 문 대표는 "탈당을 언급하고 있는 분들도 이제 그 뜻을 거두어주길 바란다"며 "이제 우리는 더 이상 좌고우면하지 않고 해야 할 일을 하고 가야 할 길을 가야만 할 때"라고 강조했다.
문 대표가 정면 돌파 의지를 보임에 따라 비주류의 연쇄 탈당에 보다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김한길계가 먼저 행동에 돌입했다. 김 전 공동대표와 가까운 최재천 전 정책위의장(서울 성동갑)과 국가정보원 댓글 사건 수사에 반발했던 권은희 의원(광주 광산을)이 이날 당을 떠났다. 수도권 의원들에게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김 전 공동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당적 문제는 국회의원 개개인의 아주 고독한 정치적 결단의 산물"이라고 선을 그었지만, 그동안 김 전 공동대표가 문 대표의 사퇴를 자신의 탈당과 연계하겠다고 공공연하게 밝혀온 점을 고려하면 김한길계의 연쇄 탈당이 임박했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동교동계도 이탈을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다.
동교동계의 상징인 박지원 전 원내대표와 권노갑 상임고문이 탈당 결심을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야권에선 친노'주류가 비주류 현역의원이 떠난 자리에 국민이 호응할 만한 참신한 인사를 얼마나 채워넣느냐에 따라 새정치연합의 운명이 달라질 것으로 보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