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험지 출마자 공천 우대권 주라는 親朴…非朴은 "전략공천 소지"

계파 또 갈등…현역 자격 심사제도 쟁점 부상

새누리당의 내년 4'13 총선 공천 룰 결정 과정에서 현행 당헌'당규에 규정된 단수추천제와 현역 의원에 대한 자격 심사 강화가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단수추천의 경우 유명 인사 및 현 정부 고위직 인사들의 '험지 출마론'과 맞물려 전략공천 논란에 불을 지폈고, 자격 심사 강화는 사실상 현역 의원의 상당수를 공천에서 원천 배제하는 '컷오프'로 직결되는 민감한 사안이다.

새누리당 공천제도특별위원회는 28일 당 최고위원회의에 지난 25∼27일 특위 회의에서 논의된 의제들을 정리해 중간보고했다. 정치 신인에게 가점을, 지방자치단체장에게 감점을 부여하고 유명 인사를 영입한 경우 단수추천에 포함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논란의 불씨는 단수추천에서 지펴졌다. 후보자가 1명이거나, 복수의 후보자 가운데 경쟁력이 월등한 후보자에게 공천을 주는 단수추천을 험지에 내세우기 위해 영입한 인사에도 적용한다는 게 특위의 논의 결과다.

당내에서 안대희 전 대법관이나 오세훈 전 서울시장뿐 아니라 현 정부의 장관이나 청와대 수석비서관 등 소위 '진실한 사람'의 범주에 포함될 법한 인사들이 험지 출마 대상으로 거론되면서 이들에게 '공천 우대권'을 어떻게 줘야 하느냐를 놓고 의견이 갈렸다.

친박(친박근혜)계는 당의 총선 전략 차원에서 '삼고초려'를 통해 인재를 영입한 만큼 그에 대한 예우를 해줘야 한다는 입장이다. 결국 전략적 요충지에 특정인을 내세우는 전략공천의 의미로 확장된다. 유명 인사의 단수추천이 김무성 대표와 비박(비박근혜)계가 거부감을 보이는 전략공천으로 해석될 소지가 큰 만큼, 전략공천은 없을 것이라며 자신의 정치 생명까지 언급했던 김 대표 입장에선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자격 심사 강화 역시 '뜨거운 감자'다. 특위에선 일단 자격 심사에 대한 결론이 유보된 상태지만, 심사 기준을 강화해 부적격 현역 의원을 걸러내야 한다는 데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이 같은 원칙에 대해선 비박계도 동의하고 있다. 다만, 실제 적용 과정에서 특정인이나 특정 계파를 겨냥한 '공천 학살'로 악용될 소지를 우려하는 분위기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