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2016, 원해연 경주 유치 원년"

시·시민단체 서명부 정부 전달…올해 활발한 활동 성공적 평가

경주시가 내년을 원해연 경주 유치 원년으로 삼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경주시 관계자들과 경주의 시민사회단체들이 유치 서명부를 미래창조과학부에 전달하기 위해 모인 모습.
경주시가 내년을 원해연 경주 유치 원년으로 삼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경주시 관계자들과 경주의 시민사회단체들이 유치 서명부를 미래창조과학부에 전달하기 위해 모인 모습.

원자력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이하 원해연)의 경주 유치를 희망하고 있는 경주시가 올해 활발한 유치활동을 성공적으로 평가하고 내년에 반드시 경주 유치를 마무리 지을 방침이다.

특히 경주시는 원전과 한국수력원자력 본사, 방사성폐기물처리장과 원자력환경공단 등 원자력산업의 주요 시설 및 기관을 바탕으로 원전해체산업을 포함한 국가원자력산업의 확장성과 발전 효율성에 있어 가장 최적지라는 점을 부각시킬 계획이다.

29일 이용래 원해연 경주유치단장은 "원자력시설 해체는 정부, 지방자치단체 주도하에 원전해체 관련 공기업(한수원, 한전KPS, 한국전력기술, 한국원자력환경공단) 간 체계적 협력으로 추진해야 하는 국책사업인 만큼 경북이 최적지"라고 강조했다.

이 단장은 특히 설계(한국전력기술)와 건설 운영(한수원), 정비(한전KPS), 방폐물 처리처분(한국원자력환경공단)이 경북에 모두 모여 있는 만큼 원자력의 단계적 처리가 완벽하게 이뤄지는 경주에 원해연이 들어와야 향후 원전해체사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경북에는 원자력 관련 핵심기관인 한수원(경주)과 한국전력기술(김천)은 물론 원자력시설 해체 필수기관인 원자력환경공단 및 방폐장이 있다. 향후 원자력연구단지 조성이 적합한 인구 저밀도의 대규모 임해지역까지 갖추고 있어 경주는 원전해체기술 개발을 포함, 차세대 원자력시스템 개발을 위한 모든 여건이 갖춰져 있다는 평가다.

특히 미래 원자력산업 연구기술개발에 최적이라는 강점도 내세운다는 복안을 경주시는 갖고 있다.

지난 4월 42년 만에 한'미 원자력협정 전면 개정 협상의 타결로 신협정이 발효, 사용후핵연료의 효율적 관리, 원전연료의 안정적 공급, 원전 수출 증진 등 국내 원자력 연구개발 자율성이 확대됨에 따라 그동안 경상북도와 경주시가 2011년부터 '동해안 원자력 클러스터 조성'의 핵심 사업으로 일관되게 추진해 오던 제2원자력연구원사업이 탄력을 받고 있다.

소듐냉각고속로를 비롯한 차세대 원자력 이용 시스템 개발 등 원자력 관련 기술의 양국 간 상호 제휴와 공동 연구개발은 물론, 국가 원자력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확대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됨으로써 사업 추진의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세계 주요 선진국은 이미 고속로, 고온가스로 등 제4세대 원자력 시스템 연구개발을 적극 준비하고 있으며 러시아, 중국, 인도 등의 국가는 이미 추진 중에 있다. 하지만 원자력의 연구개발을 종합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새로운 기술실증을 위한 여유공간이 부족함에 따라 제4세대 원자력 개발을 위한 기술실증단지로서의 새로운 연구단지 설립이 시급한 상황이다.

최양식 경주시장은 "원전과 방폐장 건설, 월성 1호기 계속운전 등 국가 원자력정책의 주요 고비마다 경주시민은 양보와 희생을 바탕으로 국가원자력 정책을 수용해왔다"며 "국가원자력산업의 새로운 중흥을 선도하고, 세계적인 원자력기술국가가 되기 위해서는 동해안 원자력 클러스터 사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할 '원자력과학단지'가 반드시 경주에 조성되어야 하며 중앙정부는 이제 정책적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