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중구에서 약국을 운영하는 김모(55) 씨는 넉 달 넘게 구청 직원들을 목이 빠져라 기다렸다. 지난해 8월부터 구청에서 폐의약품을 일괄 수거한다는 소식에 가게 한 곳에 폐의약품을 쌓아뒀지만 넉 달이 지나도록 단 한 번도 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김 씨는 "참다못해 가게에 보관했던 폐의약품을 직접 보건소에 가져다줬다"면서 "구청에 전화를 하면 수거해간다는 얘기를 뒤늦게 들었지만 구청에서 버젓이 규정을 위반하는 것을 보고 의아했다"고 말했다.
환경오염과 약물 오남용의 원인이 되는 폐의약품을 효율적으로 회수하기 위한 환경부의 정책이 정작 현장에선 겉돌고 있다. 가정에서 남은 약을 약국으로 가져오면 각 구'군이 정기적으로 약국을 돌며 회수, 처리하도록 규정이 바뀌었지만 제대로 지키는 기초단체가 전무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8월 환경부는 각 구'군이 월 1회 이상 지역 내 약국을 돌며 폐의약품을 수거해 소각 처리하도록 했다. 각 가정이나 약국이 직접 관할 보건소나 동 주민센터로 폐의약품을 가져가야 했던 방식을 개선한 것이다. 약국이나 보건소 등에서 2, 3개월씩 약을 보관 후 소각하던 기존 방식은 수거 체계가 복잡한데다 수개월씩 약이 쌓여 만성적인 공간 부족 문제에 시달렸다.
그러나 대구시내 각 구'군 가운데 바뀐 정부 지침을 따르고 있는 기초단체는 단 한 곳도 없다. 인력이 부족하고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게 이유다. 각 구'군은 약국에서 연락을 하면 수거하는 방식으로 임의대로 운영하고 있다.
대구시내 한 구청 관계자는 "지역의 약국을 모두 돌아다니기에는 인력이 턱없이 부족하다"면서 "약국에서 나오는 폐의약품보다 주민들이 동 주민센터나 구청으로 가져다주는 폐의약품 양이 훨씬 많고. 약국의 수거 요청 건수는 1주일에 2, 3건이 전부여서 요청이 올 때마다 수거하는 게 효율적"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 관계자는 "개선된 지침에 대한 공문을 각 구'군에 보냈는데 홍보가 잘 되지 않은 것 같다"고 해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