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의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는 13일 서울에서 회동을 통해 북한의 4차 핵실험에 대응해 과거와는 차별화된 압박외교로 강력하고 포괄적인 내용의 새로운 대북제재를 추진하기로 했다.
한미일은 대북제재를 위해 안보리 차원의 대응뿐 아니라 양자 차원의 조치에 대해서도 계속 검토하기로 했다.
황준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성 김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 이시카네 기미히로(石兼公博) 일본 아시아대양주국장은 이날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 회동을 하고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
'강력, 포괄적' 대북제재의 구체적 내용에 대해서는 안보리에서 논의가 막 시작됐다면서 구체적 언급을 피했다.
회동 직후 황 본부장은 기자들에게 "한미일이 과거와는 차별화된 강력하고 포괄적인 대북 압박외교를 통해 북한이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도록 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말했다.
황 본부장은 이어 "강력하고 포괄적 안보리 제재결의를 채택하는데 외교적 노력을 집중하기로 했으며, 이를 위해 가용한 수단들을 강구해 나가기로 했다"면서 "중국 러시아와도 긴밀한 소통과 협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성 김 특별대표도 기자들에게 "한미일은 안보리에서 의미 있는 새로운 제재가 도출되야한다는 데 합의했다"면서 "3국은 강력한 대응을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한미일은 이날 고강도 대북제재를 위해 키를 쥔 중국의 협력을 이끌어낼 방안에 대해서도 협의한 것으로 전해졌으나 중국을 자극하는 모습은 자제했다.
황 본부장은 "중국은 그동안 북한의 핵개발에 단호하게 반대해왔기 때문에 우리와 협력할 여지가 충분히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성김 특별대표도 "중국도 북한의 핵실험에 대해 평소처럼 아무 일 없었다는 듯이 넘어갈 수 없다는 데 동의할 것으로 희망한다"면서 "의미있는 안보리 결의안을 위해 중국 측과 긴밀히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황 본부장은 이날 한미일 협의 결과를 바탕으로 14일 베이징을 방문, 중국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와 만나 중국 측의 적극적 협력을 주문할 예정이다.
이날 회동은 지난 6일 북한의 기습적인 핵실험 이후 1주일 만에 서둘러 이뤄진 것으로, '수소탄 실험 성공'을 주장하는 북한 핵도발의 심각성을 반영한 행보로 평가된다.
연합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