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의 13일 기자회견을 병행한 대국민담화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 중 하나는 북한의 제4차 핵실험과 관련한 '중국의 역할'을 촉구한 대목이다. 중국에 대한 점잖으면서도 강력한 메시지가 담겨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박 대통령이 공개 담화를 통해 중국의 역할을 강조한 것은 외교적으로는 상당히 이례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이날 박 대통령이 언급한 대로 '가장 강력한' 대북 제재를 위해서는 핵심 열쇠를 쥔 중국의 역할이 절실하다는 상황 인식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을 직접 입에 올리지는 않았지만, 북한의 핵실험 이후 한중 정상 간 통화가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결국 이날 메시지는 시 주석을 향하고 있다는 풀이도 나온다.
박 대통령은 "가장 강력한 대북 제재 결의안이 도출될 수 있도록 모든 외교적 노력을 다해 나갈 것"이라면서 "이 과정에서 중국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박 대통령은 "중국은 그동안 누차에 걸쳐 '북핵 불용' 의지를 공언해왔다"면서 "그런 강력한 의지가 실제 필요한 조치로 연결되지 않으면 앞으로 5번째, 6번째 추가 핵실험을 막을 수 없고, 한반도의 진정한 평화와 안정을 담보할 수 없다는 점을 중국도 잘 알고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중국 정부가 긴장 상황을 더욱 악화하도록 하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 "앞으로 중국이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서 필요한 역할을 해줄 것으로 믿는다"고도 했다. 중국이 그동안 공언해 온 '북핵 불용'을 행동으로 보일 것을 우회적으로 압박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안보리 상임이사국에 대한 언급에는 중국이 G2(주요 2개국)로서 책임 있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는 의미가 깔린 것으로 해석된다.
박 대통령이 질의답변 과정에서 '전술핵'을 입에 올린 것도 눈길을 끌었다. 정치권 등 일각의 핵무장론 제기에 대해 한미의 맞춤형 억제 전략을 거론하며 "한반도에 꼭 핵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면서도 "지금 전술핵을 우리도 가져야 하지 않느냐는 주장을 충분히 이해한다. 오죽하면 그런 주장을 하겠느냐"고 언급한 것이다.
이는 북한이 실질적 핵보유국으로 등장하면 동북아에서의 '핵 도미노' 가능성이 있고, 중국이 이 같은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책임 있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을 염두에 둔 발언이 아니냐는 해석이다.
또 "북핵 문제와 관련, 우리와 긴밀히 소통해온 만큼…" "어렵고 힘들 때 손을 잡아주는 것이 최상의 파트너"라고 언급한 대목에서는 어렵사리 공들여온 한중 관계를 중국이 고려해야 한다는 우회적 압박이 느껴진다.
박 대통령의 이 같은 강력한 메시지에도 중국 측이 호응해 오지 않으면 한중 관계에 좋지 않은 후유증이 있을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