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일에 3회 이상 술을 마시는 사람은 당장은 정상 혈압이라도 1~2년이 지나면 고혈압이 발생할 확률이 무려 80% 가량 높아진다는연구 결과가 나왔다.
17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학술지 보건사회연구 최근호(12월호)에 실린 '건강위험요인 상태변화에 따른 고혈압 건강위험평가 모형 개발'(강상호 인제대 교수 등)에 따르면 2010~2012년 건강검진 결과를 분석한 결과 이처럼 나타났다.
연구팀은 2010년 건강검진에서 정상 혈압 판정을 받은 사람 1만1천632명의 생활습관을 따져 2011~2012년의 고혈압 진단 여부를 살펴봤다.
이들 중 2010년에 주3회 이상 고음주한 사람의 5.19%는 2011~2012년 고혈압 판정을 받아 고음주를 하지 않은 사람이 고혈압으로 발전한 경우인 2.90%와 큰 차이를보였다.즉,고음주자가 저·비음주자보다 고혈압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79.0% 가량 높은 셈이다.
고음주만큼은 아니었지만 흡연과 가족력도 고혈압으로 발전하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
흡연자들의 고혈압 발생률은 4.44%로 비흡연자의 3.31%보다 34.1% 높았다.고혈압 가족력이 있는 경우 5.45%가 고혈압 환자가 돼 가족력이 없는 경우의 3.55%보다 고혈압으로 발전한 비율이 53.5% 높았다.
정상 혈압이었다가 고혈압이 된 비율은 50대 이상에서 가장 컸다.50대 이상의 경우 정상 혈압이었던 사람의 10.07%가 고혈압이 됐는데,이는 30대 이하 2.58%,40대 5.04%와 큰 차이가 났다.성별로는 남성이 5.05%로,1.90%인 여성보다 2.7배 가량 높았다.
비만 역시 고혈압 발생률에 큰 영향을 미쳤다.비만도가 높은 수준을 유지하거나 복부비반이 계속되는 경우 비만으로 발전할 확률이 높았다.
2009~2010년 2년 동안 비만도를 과체중 이상 지속한 사람의 6.25%는 2011~2012년 고혈압이 발생해 전체 고혈압 발생률인 4.02%보다 55.5% 높았다.마찬가지로 복부 비만이 지속된 사람의 고혈압 발생률은 평균보다 62.9% 높은 6.55%였다.
2009~2010년 2년간 고혈압 전단계의 혈압 수치를 유지한 사람은 정상 유지자에 비해 고혈압 발생 확률이 16.5배나 높았다.고혈압으로 발전할 확률은 여성(30.9배)이 남성(14.7배)보다 2배 이상 컸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