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선거 기표용구 맨 처음 시작은 '총알 탄피' 이용

1994년부터 원안 '卜'자 사용

'선거 때 총알 탄피를 사용했다?'

선거 기표용구의 시작은 총알 탄피였다. 경기'강원 지역에서는 1948년부터 1980년대까지 탄피 둥근 부분을 이용해 기표했다. 이후 대나무를 거쳐 단단한 볼펜형 플라스틱이 대세를 잡았다가 현재의 만년도장식 기표용구로 바뀌었다.

과거엔 지역마다 다른 기표 용구를 썼다. 전국에서 통일된 기표용구를 사용한 것은 제5공화국 때인 1985년 12대 총선부터다. 제14대 대선이 있었던 1992년에는 원(O) 안에 '사람 인(人)' 한자가 들어갔다. 잉크가 덜 마른 상태에서 투표용지를 접으면 다른 칸에 인주가 묻어 어떤 후보를 찍었는지 확인할 수 없어서였다. 이후 2년 뒤인 1994년에 '점 복(卜)' 자로 바뀌었다. '인(人)' 자가 당시 김영삼 대통령의 '시옷'(ㅅ)을 연상시킨다는 주장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2005년에는 인주가 필요없는 만년도장식 기표용구가 개발돼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다. 이 또한 인주가 다른 칸에 묻어 무효표 처리되는 것을 막고자 고안됐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