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 선거구 6곳 조정, 2석 감소…여야 '지역구 253석' 잠정 합의

여야가 20대 총선 선거구획정을 잠정 합의함에 따라 경북 선거구가 2석 감소한 상태로 20대 총선을 치르게 됐다.

23일 여야가 지도부 회동을 통해 선거구획정안으로 '지역구 253석+비례 47석'에 의견 일치를 봤다. 그러나 쟁점법안과의 연계 여부를 놓고 여야가 대립하면서 최종 합의에는 이르지 못했다. 24일에도 여야 지도부가 회동했지만 쟁점법안과의 연계처리에 이견을 보여 선거구획정안의 최종 사인은 미뤄졌다. 10면

쟁점법안에 대한 여야의 입장 차로 선거구획정안 국회 통과가 늦춰질 수도 있지만 지도부 차원에서 지역구를 253석으로 하자는 데 잠정 합의한 만큼 선거구획정안이 변화할 가능성은 없다는 것이 정치권의 분석이다.

여야의 '253+47' 잠정합의안은 현행 국회의원 수를 유지하면서 기존 지역구 의석을 7석 늘리는 대신 그만큼 비례의원 수를 줄이는 안이다. 이렇게 되면 기존 지역구 247석을 기준으로 했을 때보다 농어촌 지역구 통합은 다소 줄어들 것으로 보이지만 지역구가 늘어나는 곳은 대부분 수도권이다.

이 때문에 경북의 2석 감소는 불가피하다는 것이 여야 지도부의 공통된 입장이다. 지역구 의석이 253석으로 확정되면 인구 산정일인 지난 8월 31일을 기준으로, 헌법재판소가 제시한 선거구별 인구 편차 기준(2대 1)에 따른 상한 인구는 27만1천226명, 하한 인구는 13만5천613명이다.

이를 적용했을 때 경북에서는 현재 선거구 중 군위'의성'청송, 문경'예천, 상주, 영주, 영천 등 5곳이 인구 하한에 미치지 못해 조정대상이 된다. 지역구를 253석으로 한 선거구 통합안은 경북의 경우 문경'예천과 영주, 군위'의성'청송과 상주, 영천과 청도가 통합대상이다.

조원진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회동 뒤 "지역구 253석은 큰 틀의 합의가 이뤄져 이날 회동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한 여러 가지 내용을 논의했다"며 "지역 편차'인구 비율 편차 문제, 또 농촌 지역을 살리는 취지 등이 그 대상에 포함됐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