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국왕을 국가원수로 둔 입헌군주국이자 영연방의 일원인 호주에서 독립공화국 추진 움직임이 다시 일고 있다.
25일 영국 BBC 등에 따르면 호주의 8개 주(州)'준주(準州) 가운데 서호주(WA)주를 제외한 모든 주가 독립공화국으로의 전환에 찬성하는 문서에 최근 서명했다.
서호주의 콜린 바넷 주지사는 "시기가 적절하지 않다"며 서명을 거부하면서도 "공화국은 지지한다"고 밝혔다.
야당 당수인 빌 쇼튼은 26일인 국경일 '호주의 날'을 맞아 호주의 공화국 전환을 촉구하는 연설을 할 예정이다.
호주는 1999년 치러진 국민투표에서 공화국 전환을 한 차례 부결한 바 있다.
맬컴 턴불 현 호주 총리는 당시 공화국 추진 운동을 이끈 인물이다.
그러나 턴불 총리는 전날 호주 매체 헤럴드 선과 한 인터뷰에서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의 통치가 끝나기 전에는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공언했다.
'호주공화국 추진운동'(ARM)의 피터 피츠시몬스 의장은 "턴불 총리와 야당 당수를 포함한 호주의 모든 지도자가 왕정과 관계를 끊는 것을 지지한다"고 주장했다.
피츠시몬스 의장은 "남십자성의 별들이 호주의 새로운 공화정의 여명을 이토록 가지런히 가리킨 적은 일찍이 없었다"고 비유했다.
남호주의 제이 웨더힐 주총리는 "호주가 주권국가가 될 때가 무르익었다"고 힘을 보탰다.
웨더힐 주총리는 "자존심이 있는 독립국이라면 자국 시민 중 누군가를 국가수반으로 선택하고자 열망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군주정을 옹호하는 단체 '입헌군주제를 위한 호주인들'을 이끄는 데이비드 플린트 교수는 공화국을 주장하는 이들이 현행 체제의 대안을 내놓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플린트 교수는 "그들이 유명인이나 정치인으로부터 지지를 받을 수는 있다"면서 "그러나 어떤 체제를 원하는지, 그것이 호주의 통치를 어떻게 개선할지는 아직 제시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기거하는 버킹엄궁 대변인은 "여왕은 언제나 '호주 군주정의 미래는 호주인들이 결정할 문제'라는 점을 확실히 하셨다"고만 밝혔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