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무성 "권력자 선진화법 찬성하자 모두 따라가"

입법 당시 박 대통령 빗대어 발언…최경환 질문엔 "현 정권의 실력자"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26일 직권상정 요건을 강화한 현행 국회법(일명 국회선진화법)의 입법 과정과 관련해 "그때도 우리 당내 거의 많은 의원이 반대를 했는데, 당시 권력자가 찬성으로 돌자 반대하던 의원들이 모두 다 찬성으로 돌아버렸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이날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중장기 경제어젠다 추진 전략회의'에 참석해 "왜 그러한 망국법인 국회선진화법이 국회에서 통과됐느냐에 대해 말하지 않을 수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그래서 통과된 게 바로 국회선진화법"이라며 "이러한 (권력자의 뜻에 따라가는) 잘못을 종료시키려고 공천권에 발목이 잡힌 국회의원에게 정치적 철학과 소신을 굽히지 말라는 뜻에서 100% 상향식 공천을 내가 지금 온갖 모욕과 수모를 견뎌가면서 완성했다"고 말했다.

김 대표가 이날 언급한 '권력자'는 당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이던 박근혜 대통령을 지칭한 것으로 보인다. 김 대표는 이어 기자들과 만나 친박(친박근혜) 핵심 최경환 의원이 앞으로 당에서 주도적 역할을 해야 한다는 데 동의하느냐는 질문에 "동의한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최경환 의원은 이 정권의 막강한 실력자이다. 그래서 최 의원과 많은 대화를 해서 서로 의견 조율을 하겠다"고 덧붙였다. 당내에서 제기되는 '최경환 역할론'이 자신을 흔들려는 의도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 최경환 의원과 대화가 잘 통하는 사이"라고 일축했다.

친박계 의원들은 김 대표의 '권력자 발언'에 발끈했지만 확전은 자제했다.

친박계 의원들은 26일 구체적으로 지목하진 않았으나 맥락상 권력자가 당시 당 비대위원장인 박근혜 대통령을 지칭한 것으로 받아들여지면서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다만 최근 노동개혁 법안을 비롯한 쟁점법안 처리를 위해 당력을 집중하는 동시에 20대 총선을 앞두고 단합을 강조하는 당내 분위기를 반영한 듯 확전은 자제하는 모습을 보였다.

친박계 관계자는 "(2012년 5월) 국회선진화법이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됐을 당시 찬성표를 던진 의원이 127명인데 그 가운데 55명이 바로 전 달에 치러진 총선에서 낙마한 상태였다"며 당시 비대위원장인 박 대통령의 눈치를 봤다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한편 청와대도 김 대표의 권력자 발언에 대해 특별한 언급을 하지 않았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