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등학교에 다니다 학업을 중단한 학교 밖 청소년 절반 이상이 학교를 그만둔 것을 후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는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취업사관학교, 단기쉼터, 소년원 등 315개소에 속한 청소년 4천691명을 대상으로 한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를 28일 발표했다.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실태조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56.9%가 학교를 그만둔 것을 후회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소년원, 보호관찰소에 입소한 비행집단 청소년의 경우 후회하는 비율이 70.2%로 나타나 일반집단 청소년(47.6%)보다 높았다. 후회하는 이유 중에는 다양한 경험 부재(52.3%)가 가장 많았다. 졸업장을 받지 못해서(52.3%), 교복을 입지 못해서(51.9%), 친구 사귈 기회가 감소해서(44.6%), 학생 권리가 상실되어서(33.3%)가 뒤를 이었다. 학교를 그만둔 사유는 아침에 일어나기 힘들어서(27.5%), 공부하기 힘들어서(27.2%), 원하는 것을 배우려고(22.3%), 검정고시 준비(15.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비행집단 청소년은 공부하기 싫어서(36.5%), 학교와 분위기가 맞지 않아서(13.2%)의 응답 비율이 높았다.
학교는 고등학교 때 가장 많이 그만두는 것으로 집계됐다. 응답자 절반 이상이 고등학교 때 학교를 떠났다고 답했고, 특히 고등학교 1학년(32.6%) 시기에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를 그만둘 때는 부모(67%)나 친구(44.7%)와 가장 많이 상담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아무하고도 의논하지 않은 경우도 14.5%나 됐다. 특히 소년원에 있는 학교 밖 청소년 26.4%는 아무와도 상의하지 않은 채 학교를 그만뒀다고 답했다.
학교 밖 청소년의 거주 형태는 매우 불안정했다. 응답자의 53.5%는 학교를 그만둔 후 집 이외에서 생활했다고 답했다. 주로 거주한 장소는 친구 집(34%), PC방(25.8%), 모텔'여관(13.9%), 원룸'고시원(13.3%)이었다. 대부분이 학교를 그만뒀다는 이유로 주위에서 따가운 시선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43%는 사회적 편견으로 어려움을 겪었다고 답했고, 진로 찾기(28.8%)와 부모와의 갈등(26.3%)도 힘든 점으로 꼽았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