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은 29일 여야의 힘겨루기 끝에 국회 본회의가 무산되자 여당과 제1야당을 싸잡아 비판하며 기성 정치권에 실망한 국민 여론을 파고들었다.
쟁점 법안 및 선거구 획정안을 담은 공직선거법의 조속한 처리를 거듭 촉구하면서 '캐스팅보트'로서의 존재감 확장도 시도했다.
특히 3당 체제로의 '새판짜기'를 목표로 한 상황에서 이번 사례를 계기로 양당 체제의 고질적 문제점을 부각시키면서 부동층 및 중도층의 지지세를 최대한 결집하려는 모습도 보였다.
최원식 창당준비위원회 대변인은 이날 본회의 무산 직후 구두논평에서 "자기 주장만 고집하다가 국민은 납득할 수 없는 사소한 문제로 전체를 그르쳤다"며 "양당 체제의 한계를 그대로 보여줬다"고 비판했다.
최 대변인은 특히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이 '적대적 공생관계'를 구축하고 있다면서 "국민과 유권자, 출마 예정자들에 대한 '갑질'"이라며 날을 세웠다.
새누리당을 향해서는 "여당으로서 국정 현안, 특히 선거법에 대한 해결 의지를 보이지 않았다"고 질타했고, 더민주에 대해서도 "기업활력제고특별법(원샷법)과 북한인권법 처리에 합의하고도 갑자기 선거법을 들고 나와 협상을 파기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나아가 더민주에 대해서는 "협상의 관행을 모르는지, 아니면 협상을 제대로 못한 책임을 회피하는 것인지는 모르겠으나 현안 해결의 의사도 없는 것 같다"고 비난의 강도를 높여 야권 주도권 경쟁을 의식한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왔다.
이에 앞서 북한인권법 협상이 결렬되자 김근식 통일위원장이 마포구 창준위 사무실에서 별도의 브리핑을 하는 등 비판의 수위를 한층 높이기도 했다.
그는 "북한 인권증진이라는 대의보다 소모적 정쟁에만 매달리는 양당의 고집과 오기에 개탄을 금할 수 없다"고 힐난했다.
최 대변인은 "양당 체제로는 이런 문제를 극복할 수 없다"며 "우리 당이 원내교섭단체를 구성한다면 이런 양당의 무능을 반드시 극복하겠다. 대화와 타협의 정치를 반드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이날 본회의 무산이 바람직하지 않은 정치관행의 대표적 사례라는 점을 강조하면서도 내부적으로는 내심 신당의 명분을 쌓고 지지도를 올리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없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한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더 이상 이런 낡은 정치가 계속돼서는 안 된다는 국민적 지지와 공감대에 따라 신당이 생긴 것 아닌가"라며 "국민들도 이번 사례를 통해 신당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느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국민의당은 여야가 쟁점 법안 처리를 위한 본회의 개최에 합의한 것에 대해 신당의 '메기효과'(메기 한마리를 어항에 넣으면 미꾸라지들의 움직임이 빨라져 어항 생태계의 생기가 높아지는 현상)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