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병구의 서울생활, 어떻습니까?] 김준봉 활력농촌운동본부 상임대표

"사람 모여야 농촌에 생기…귀농·귀촌, 제2의 새마을운동으로"

▷1959년 경북 상주시 외남면 지사리 출생 김준봉 상임대표는 ▷상주 외남초
▷1959년 경북 상주시 외남면 지사리 출생 김준봉 상임대표는 ▷상주 외남초'상주중'상주공고 졸업 ▷상주대 축산학과 졸업 및 경북대 축산학 석사 ▷한국농업경영인 상주시연합회'경상북도연합회 회장 ▷한국농축산연합회 상임대표 ▷농촌사랑범국민운동본부 이사 ▷한국농업경영인 중앙연합회 회장 ▷(사)활력농촌운동본부 상임대표(현)

김준봉(56) (사)활력농촌운동본부 상임대표는 농촌에서 태어나 농사로 잔뼈가 굵었다.

군 제대 후 1983년부터 복합영농으로 농업인 후계자가 됐다. 벼농사는 기본이고 콩, 고추, 감, 사과, 배를 재배했고, 한우도 최고 15마리까지 키웠다. 하지만 농사일이 늘 순탄하지만은 않았다. 1980년대 중반 호주 생우 수입파동 이후 한우는 포기했다. 농민들의 한탄과 아우성이 여기저기서 들렸다. 이런 과정에서 농촌을 살리는 데는 혼자가 아니라 여럿이 힘을 모아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농업경영인연합회 활동에 적극 나서는 계기가 됐다. 상주시연합회장을 거쳐 경상북도연합회 회장을 하면서부터는 직접 농사를 짓기보다는 정부를 향해 농민의 목소리를 내는 데 열정을 쏟았다. 이후 농업경영인 지도자로서 제대로 된 목소리를 내고 정부를 설득시키기 위해서는 배워야 한다는 생각에 고교 졸업 20년 만에 대학을 졸업했고, 다시 25년 만에 축산학 석사가 됐다.

지난해 제20회 농업인의 날에는 농촌진흥청에서 '동탑산업훈장'을 받기도 했다. 한국농업경영인 중앙연합회장 등을 역임하면서 농정 발전과 농권 보호운동에 앞장선 공로였다. 농업 관련 법률과 제도 개선, 예산 확보에 노력한 점, 대기업과의 양해각서(MOU) 체결 등 농산물 판로 확보에 노력하고 무역이득공유제를 추진하는 등 왕성한 활동이 평가받았다. 같은 해 상주시로부터 농정 발전과 농가소득 증대에 공헌했다는 점을 인정받아 상주시민상(산업건설 부문)도 거머쥐었다.

한국농축산연합회 상임대표 시절에는 27개로 흩어진 농업인단체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해 협치 농정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기도 했다.

그는 이제 각종 농업단체를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등 귀농'귀촌을 제2의 새마을운동으로 확산시켜 살기 좋은 농촌, 활력 넘치는 농촌을 만드는 데 혼신의 힘을 쏟을 계획이다.

김 상임대표로부터 활력 넘치는 농촌의 방향에 대해 들어봤다.

-언제부터 농사를 지었나.

▶군 제대 후 대형 건설사에 입사한 뒤 중동으로 가려고 했으나, 리비아에서 쿠데타가 발생하는 바람에 뜻을 이룰 수 없었다. 당시 집안 농사일을 거들다가 캐나다 대사관 근무경험이 있던 형이 '외국에 가보니 농사도 잘만 하면 괜찮더라. 내가 뒤에서 도와줄 것'이라고 해 본격적으로 농사일에 뛰어들었다.

-(사)활력농촌운동본부를 만든 배경은.

▶떠나는 농촌에서 돌아오는 농촌을 만들어보자는 취지다. 젊은이들의 이농, 고령화, 자유무역협정(FTA) 등으로 공동화의 위기를 맞고 있는 농촌에 사람이 모이고, 활력을 되찾을 수 있도록 민간 차원에서 역할을 해보겠다고 지난해 8월 발족했다.

-활력 넘치는 농촌을 위해 필요한 것은.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정책적으로 해야 할 일과 민간 차원에서 할 일을 구분할 수 있다.

농촌에 산부인과가 없어 대도시로 가야 하는 형편이다. 젊은 사람들은 교육이나 문화여건이 나빠 농촌에 정착하기를 기피한다. 정부나 지자체는 교육, 의료, 문화 등 농촌에서도 살 만한 여건과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민간 차원에서는 귀농'귀촌하는 사람들과 현지인들이 잘 융화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해줘야 한다. 또 귀농하는 젊은이들이 산업적으로 소득이 생길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정보와 도움을 줄 필요가 있다.

최근 봉화에서 축산업을 하는 한 분은 귀촌인과 갈등을 빚고 있는 사연을 털어놓았다. 귀촌인은 쾌적한 환경에서 살기 위해 봉화의 한 개천 옆에 집을 지었는데, 현지인이 축사를 지으려고 해 악취와 폐수 등 환경문제로 소송을 제기했다는 것이다. 현지인이든 농촌에 들어오는 사람이든 서로에게 피해를 줘서는 안 된다. 농민은 축사 등을 철저히 관리하고 귀촌인들은 현지인들과 잘 어우러지려고 노력해야 한다.

-운동본부의 구체적인 활동방향은.

▶귀농귀촌포럼 등을 통해 귀농, 귀촌인들의 정착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역할을 하겠다. 각종 규제나 정책적 지원과 관련해 정부와 지자체에 필요한 사안을 건의하거나 요구할 계획도 있다.

귀농하는 젊은이들이 어떤 작목을 할 것이냐, 어떻게 생산'유통할 것이냐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농협, 농촌진흥청 등지의 각종 정보를 통합한 농촌정보문화원을 활용하고, 한국농업경영인회, 한우협회, 양돈협회 등과 유기적으로 연계해 정보나 교육 등을 제공할 계획이다. 그런 정보를 제공하고 정착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춰줘야 한다.

한편으로 유통, 마케팅 부문은 귀농 젊은이들이 더 깨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그런 장점과 농촌의 정보를 결합하면 된다.

지난해까지 4년 동안 한국농업경영인연합회(한농연) 회장을 한 것이 운동본부 활동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한농연은 전국 13만5천 명을 회원으로 두고 있고, 산하 경작품목도 상당하다. 한농연을 비롯해 다양한 농업 관련 단체와 유기적인 관계를 맺어 정보, 교육 등을 제공하고, 농산물 생산자, 기업과의 생산물 유통과 관련한 MOU를 체결하는 등 귀농'귀촌인들이 잘 정착할 수 있는 여건을 적극 지원하겠다.

-농업경영인 중앙연합회를 이끌면서 거둔 성과는.

▶직불금제도 등 농업 관련 법과 제도 개선에 힘을 쏟았고, 농업 관련 예산 확충에 노력했고 또 성과도 거뒀다.

변동직불금제도와 관련해 쌀 목표가격을 2012년 80㎏들이 1가마니 가격을 17만83원에서 2015년 18만8천원으로 올리는 데 역할을 했다. 정부는 쌀값이 목표가격보다 내려갈 경우 차액의 85%를 보상해주고 있다.

논 고정직불금도 ㏊당 2010년까지 70만원을 했는데, 2013년부터 단계적으로 올려 지난해 100만원으로 상향 조정되도록 했다.

밭 직불금제도도 회장 재직 때 직접 만들었다. 당초 정부안은 1㏊당 20만원이었는데, 2014년 40만원에서 2015년 50만원까지 올렸다.

또 벼 수확을 한 뒤 겨울 논에 사료작물을 심으면 '동계 이모작직불금'을 지급하도록 하는 제도를 이끌어냈다. 겨울에 사료작물을 재배해 수입 건초의 대체효과도 내고, 농촌 소득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 셈이다.

-활력농촌을 위해 정부와 농민들이 가장 시급히 할 일은.

▶정부는 직불금제도를 활성화하고, 농민에 대한 융자금리를 더 낮춰줘야 한다. 농업경영인들은 축사 시설자금, 증축자금 등 각종 정책자금에 대한 금리를 3, 4%가량 부담하고 있는데, 현재 전반적으로 저금리인 상황에서 최대 1%까지 낮춰줘야 한다. 농민들이 현재 가장 원하는 것이다.

노인이나 소농에 대해서는 복지정책 차원에서 직불금을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 대규모농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불금을 많이 지급하는 등 정책의 융통성을 발휘해야 한다.

파프리카, 딸기, 곶감 등 수출전략품목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농산물 수출이 활성화되도록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농민들도 자체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겨울에는 사료작물을 심어서 논을 놀리지 않고, 각종 농업 관련 정보수집에 대한 노력도 기울여 작목 선택과 유통 등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젊은 사람들은 작목단지를 만들어 공동으로 경작하고 운영하는 등 생산의 효율성과 소득을 높여야 한다.

-정부에 바라는 점은.

▶농촌 정주여건을 점진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특히 소규모 학교 통폐합에 대해서는 재론해봐야 한다. 소규모 학교 통폐합이 효율성만 따지면 필요하지만, 농촌 교육여건을 볼 때 거꾸로 가는 정책이다. 소규모 학교도 잘 살리면 귀농'귀촌이 활성화될 수 있다. 교육여건이 나빠 귀농'귀촌을 머뭇거리는 이들이 많다. 교육예산 지원도 도시에만 집중하는 방식에서 벗어나야 한다. 흙을 밟고 산과 물에서 뛰노는 아이들이 인성교육에 훨씬 나을 수도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