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에서 시작된 국채보상운동을 전국으로 확산시킨 대한매일신보가 국채보상의원금(國債報償義願金)을 낸 사람들에게 발급한 영수증이 처음으로 발견됐다.
경산에 있는 나라얼연구소 조원경(59) 이사장은 고서적 경매 사이트에서 구입'소장 중이던 영수증을 최근 공개했다.
국채보상의원금 영수증은 대한매일신보가 광무 11년(1907년) 4월 4일 발급한 것으로 가로 8.7㎝×세로 10.5㎝ 크기. '금 64원을 경기 강화군 하도면 장곶동(지금의 인천 강화군 화도면 장화리) 동네주민 모두가 함께 모아냈다'고 기록돼 있다.
장곶동 주민들이 1907년 4월 4일 낸 국채보상의원금(64원)과 관련, 대한매일신보는 그달 12일 4면에 돈을 낸 74명의 이름과 금액도 게재했다.
한국외국어대 정진석 명예교수는 "대한매일신보사가 직접 의연금을 접수해 영수증을 발급했고, 의연금을 낸 사람과 금액이 그대로 신문에 게재된 사실 등이 확인되기는 이번이 처음으로 매우 희귀한 자료"라고 했다. 정 명예교수는 "이 영수증 하단에 영문으로 쓴 'yang'은 당시 대한매일신보사 총무이자 이 신문 내에 설치된 국채보상금 수금 총괄기구인 국채보상지원금총합소의 검사원이었던 양기탁이 의연금을 접수하고 서명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지금까지 발견된 국채보상금 관련 영수증은 대구 단연회 창립총회 발기인인 김윤란이 1907년 2월 21일 국채보상금 100원을 대구민의소에 내고 받은 영수증과 충남 공주군 우정면 신곡에서 1907년 4월 1일 국채보상금 6원50전을 내고 받은 영수증(신한은행 한국금융사박물관 소장) 등 2장뿐이다.
이들 영수증은 지방에서 발급된 것이고, 이번에 나온 영수증은 대한매일신보사에서 전국적으로 의연금을 접수해 영수증을 발급하는 등 의연금이 투명하게 관리됐다는 것을 보여줘 국채보상운동사(史)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고 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는 평가했다.
▶국채보상운동=1907년 1월 29일 대구에서 광문사라는 출판사를 운영하던 사장 김광제'부사장 서상돈 등이 "정부가 일본으로부터 빌려 쓴 1천300만원(지금 돈으로 환산하면 3천300억원가량)을 국민들이 담배를 끊어 절약한 돈을 모아 갚아 보자"는 취지로 시작돼 전국으로 확산된 국권회복운동. 1908년 8월 의연금 모금 총액은 16만∼19만원 정도였을 것으로 추산된다. 일제는 1908년 7월 대한매일신보사에서 의연금을 관리했던 양기탁을 국채보상금 횡령 혐의로 누명을 씌워 구속(이후 증거불충분으로 무죄 선고를 받음)한 후 이 운동은 급격히 위축돼 좌절됐다. 모금액 상당 부분은 학교를 세우는 데 쓰였으나 일부는 일제 경찰이 가져간 것으로 최근 문서 자료가 발견됐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