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취업난에 20·30대 '소득 절벽'…2인 이상 가구 월평균 소득 431만원

지난해보다 0.6% 줄어 첫 마이너스…40대 이상 세대보다 '가난한 세대'

소득소득 불평등과 양극화 현상이 갈수록 심화되는 가운데 지난해 20'30대 가구의 소득 증가율이 사상 최초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앞선 세대보다 가난한 세대가 처음 등장한 것이다.

8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에 따르면 가구주가 39세 이하인 2인 이상 가구의 지난해 월평균 소득은 전년보다 0.6% 줄어든 431만6천원으로 나타났다. 20'30대 월급쟁이 가구의 지난해 근로소득이 0.8% 줄면서 사업소득과 재산소득 등 전체 소득 증가율이 줄어든 것이다.

사회활동을 시작하는 20'30대 가구의 소득이 줄어든 것은 2003년 관련 통계를 조사한 이래 처음이다. 20'30대 가구 소득 증가율은 2011년 5.2%, 2012년 2.9%, 2013년 7.4%로 꾸준히 증가했다. 그러나 2014년 0.7%로 증가율이 낮아지더니 지난해 감소세로 돌아섰다.

소득이 줄어든 연령대는 20'30대뿐이다. 40대 가구는 월평균 소득이 495만9천원(+2.8%), 50대는 505만5천원(+2.0%), 60대 이상 가구는 300만4천원(+6.8%)이었다.

청년층 가계소득이 줄어든 주된 이유는 취업난 때문이다. 국내 청년 실업률은 지난해 9.2%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고, 올 1월 9.5%로 더 높아졌다. 구직활동조차 시작하지 않아 실업률 통계에서 제외된 인원도 지난해보다 4만5천 명(8%) 늘어난 60만9천 명(올 1월 기준)에 이른다.

그나마 취업을 해도 비정규직 일자리를 잡거나 생계형 창업을 하는 등 고용의 질이 악화돼 소득 수준이 낮았다. 통계청 '청년층 부가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학교를 졸업'중퇴한 뒤 생애 처음 입사한 청년층 400만 명 중 20.3%(81만2천 명)가 1년 이하 계약직이었다. 한국노동연구원에 따르면 신규 채용된 비정규직 청년 비율도 2008년 54%에서 지난해 8월 64%로 치솟았다.

결국 가계소득 감소는 '소비 감소→경제성장률 하락→기업투자 감소→고용 감소'의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지난해 가구주가 39세 이하인 가구의 월평균 가계지출은 335만9천원으로 전년보다 0.9% 감소했다. 이들 가구의 지출이 줄어든 것 역시 2003년 이후 처음이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지난 7일 발간한 '경제동향'에서 "청년 고용이 악화되면 교육'구직 의사가 없는 '니트(NEET)족'이 늘어난다. 이는 경제활동인구 감소, 청년층의 직장 경력이 부족해지는 데 따른 인적자본 손실로 이어져 경제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