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계모=학대'는 편견…친부모 학대가 77%

최근 아동 학대 사건이 잇따르면서 학대의 주요 범인으로 '계모'가 꼽히고 있으나 이는 편견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아동 학대 가능성이 크다는 가설은 어느 정도 타당한 것으로 분석됐다.

15일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의 '전국 아동 학대 현황 보고'(2014년 기준)를 살펴보면 전체 학대 피해 아동 1만27명의 가정 유형으로는 친부모 가정이 44.5%로 가장 많았다. 한부모 가정이 32.9%(부자 가정 18.8%'모자 가정 14.1%)로 두 번째로 많았으며, 재혼 가정은 7.5%에 그쳤다. 그 때문에 학대 가해자도 친부모인 경우가 77.2%(친부 45.2%'친모 32%)에 달하지만 계모와 계부는 각 2.4%, 1.9%였다.

재혼 가정 수가 적다는 점을 고려해도 오히려 친부모에게 학대받는 아동이 많은 게 현실이다. 다만, 재혼 가정과 계모와 계부에 의한 학대 비율은 미세하나마 느는 추세다.

2010년 학대 가정 중 재혼 가정 비율 6.7%, 가해자 중 계모 및 계부 비율 각 1.9%와 1.3%이던 것이 4년 만에 모두 0.6∼0.8%p 증가했다.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학대 가해 비율이 높았으나, 고소득자의 학대 행위도 적지 않았다.

학대 가해자 중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권 대상자는 18.5%에 그쳤으나, 무직이 32.4%, 단순노무직이 16.5%, 서비스 및 판매직이 15.1% 등 절반 이상이 소득 수준이 낮거나 업무 스트레스가 강한 직업군이 차지했다. 소득 수준이 높은 관리직(2.6%), 전문직(9.1%), 기술공 및 준전문직(7.3%) 부모의 학대 비율도 20% 가까운 것으로 집계됐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