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최초로 세계 최정상급의 인간 프로 바둑 기사를 물리친 인공지능(AI)으로 기록된 구글의 인공지능 프로그램 '알파고'(AlphaGo)의 다음 행보는 무얼까.
15일 외신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알파고의 개발사인 구글 딥마인드는 알파고의 다음 도전 대상으로 전략 게임 '스타크래프트'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구글의 수석연구원(시니어 펠로) 제프 딘은 9일 서울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머신 러닝(기계학습)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구글 딥마인드팀이 AI를) 스타크래프트에 접목하는 방안도 고민 중인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그럼 구글은 인공지능을 게임에만 활용할 계획인 걸까? 알파고 개발사인 영국 딥마인드의 최고경영자(CEO) 데미스 허사비스의 발언을 보면 꼭 그렇지는 않다. 허사비스는 최근 IT 전문매체 더 버지(Verge)와의 인터뷰에서 다음 관심사로 건강관리(healthcare)와 스마트폰 개인비서 서비스 등을 꼽았다.
특히 애플의 '시리'(Siri)와 비슷한 스마트폰 개인비서 서비스는 순다 피차이 구글 CEO가 "구글의 미래에 핵심적 서비스"라고 지목했다고 허사비스가 밝혀 결과가 주목된다. 허사비스는 이 서비스와 관련해 "앞으로 몇 달간 알파고 알고리즘을 이용해 말 그대로 무(無)에서 시작해 철저하게 혼자서 공부하도록 하는 방법을 시도해 보려 한다"고 말했다.
지금까지 알려진 딥 러닝은 기본적으로 학습 초기 사람이 교과서에 해당하는 학습 데이터를 컴퓨터에 주고 공부하도록 하는 방식이었는데, 이런 간섭마저도 없애겠다는 것이다. 말 그대로 백지 상태에서 인공지능 스스로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원리와 규칙, 예외 등을 깨우치도록 하겠다는 얘기다.
한편 허사비스는 "우리는 스마트폰 개인비서가 실제로 똑똑하고 상황적 맥락을 이해하면서 우리가 하려고 하는 일을 더 깊이 이해하도록 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한편 허사비스는 이날 5국이 끝난 뒤 알파고의 다음 개발 계획과 관련해 "경기 분석을 철저히 하는 데 집중할 생각이며 아직 구체적으로 정해진 바가 없다"고 말했다. 허사비스는 "일단 경기에 집중했고 영국으로 돌아가 몇 주 동안은 대국 결과를 면밀히 분석할 계획"이라며 "앞으로 몇 개월 내에 알파고의 기술 공개나 추가 대국 등에 관해 계획을 마련해 발표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