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총선 공천을 둘러싼 새누리당 내홍이 최고조로 치닫는 가운데 친박(친박근혜) 주류가 김무성 대표를 전방위로 압박하며 '고립 작전'에 들어갔다.
김 대표가 16일 열린 최고위에서 공천관리위(공관위)가 결정한 단수'우선추천지에 대한 의결을 보류하고,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어 공개적으로 이의를 제기한 게 결정타였다.
또 '윤상현 막말' 파문 국면에서 김 대표가 끝내 사과를 수용하지 않으면서 '살생부' 의혹이 다시 부각되고, 결국 윤 의원의 공천 탈락으로까지 이어진 데 대해서도 강한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당 대표가 공천에 대해 문제가 있다고 하면 야당의 공격 포인트가 된다"면서 "처음부터 끝까지 당 대표가 공천을 엉망으로 만들어 과반 확보도 걱정"이라고 말했다. 친박계에서는 이를 전략공천이 이뤄질 경우 "당 대표 직인을 찍지 않을 수 있다"는 김 대표의 이른바 '옥새 저항'으로 보고 향후 공천 심사 운영에 대한 대책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9월 공천제도특별위원회 구성과 공관위원장 선임 과정에서 충돌, 박 대통령을 겨냥한 '권력자 발언' 등으로 파문을 빚은 데 이어 공천심사안 의결까시 사실상 '보이콧'하고 나서자 "김 대표와 계속 함께할 수 있느냐"는 문제제기도 여권 핵심부에서는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표가 이날 최고위 개최를 보류하자 '신박'(新박근혜)으로 분류되는 원유철 원내대표 주도로 최고위를 소집해 공관위 심사 내용의 의결을 시도하고, 외부 공관위원들이 김 대표의 사과를 요구하며 보이콧에 나선 것도 이러한 흐름 속에서 나왔다.
한때 친박계 최고위원들이 동반 사퇴함으로써 비대위 체제로 전환, 김 대표를 자연스럽게 당무에서 배제한다는 시나리오가 돌기도 했으나 당장은 이를 가동하기가 어려울 전망이다.
총선이 한 달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지도부가 와해하는 적전 분열의 사태까지 벌어질 경우 여론에 민감한 서울, 수도권에서는 부동층이 대거 등을 돌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공천 파동을 거치면서 청와대'친박계와 김 대표 간의 불신이 더욱 증폭됨에 따라 총선 이후 양측의 권력투쟁은 더욱 가파르게 전개될 전망이다. 세력을 형성해 오는 2017년 대권을 향해 달리려는 김 대표와 박 대통령의 임기 후반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위해 새로운 권력의 탄생을 최대한 억누르려는 청와대의 충돌은 거의 정해진 수순이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