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4'13 총선 지역구 공천 심사는 사실상 유승민(대구 동을) 의원 지역 한 곳만 남겨둔 상태다. 253개 지역구 가운데 아직 최종 후보자가 결정되지 않은 곳은 최고위원 지역을 비롯해 경선이 진행 중인 지역이거나 최고위의 재심 요청이 들어온 몇 군데밖에 없다.
유 의원 공천에 대해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은 "굉장히 정무적인 판단이 필요한 사안"이라며 결정을 미루고 있고, 최고위원회의 역시 공천 여부에 견해가 엇갈리면서 공관위로 떠넘긴 형국이다.
김태호 최고위원은 17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유 의원 지역의 공천 심사에 대해 "모든 심판은 국민이 하는 것이나 (후보 공천은) 후보 등록(24, 25일) 전까지만 하면 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한 핵심 당직자는 "만약 유 의원에게 공천을 주지 않으면 수도권에 여파를 미칠 수 있다"면서 "비례대표를 발표하면서 함께 발표해버릴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단순히 공천 갈등 차원을 넘어 정치적 계산이 작용했다는 시각도 있다.
당내에서는 친박계 주류가 유 의원 공천 여부 결론을 늦추며 고사(枯死) 작전에 들어갔다는 해석도 있다. 친박 주류에서는 공천 배제에 대한 의견이 강하지만 섣불리 이를 몰아붙이듯 결정해 괜히 유 의원을 박 대통령에 맞선 '정치적 거물'로 만들지 말고 스스로 걸어나가거나 공천을 주더라도 최대한 힘을 빼놓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미 유 의원의 수족이라고 할 수 있는 이른바 '유승민 사단' 소속 의원들은 대부분 공천을 받지 못해 사실상 고립무원에 빠진 형국이다. 공천에서 배제할 경우 탈당 후 무소속 출마의 명분을 주게 되지만, 최대한 공천 결정을 늦추면 그럴 가능성을 어느 정도 차단하는 것은 물론 유 의원을 구심점으로 비박계가 무소속 연대를 통해 세력화하는 것을 막는 데도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또 청와대 의중에 따라 유 의원을 잘라 냈다는 비판도 어느 정도 피함으로써 총선에 미칠 파장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