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찰과 직원 채용을 둘러싼 여러 의혹과 비리로 진통을 겪은 한국패션산업연구원이 또다시 잡음을 내고 있다. 일방적인 사업 추진에 반발한 지역 패션'봉제업계가 지난해 원장 퇴진 서명운동에다 대구패션페어 참가를 거부한 데 이어 최근 직원 폭행 혐의에 대한 김충환 원장의 검찰 수사까지 겹치는 등 분란의 연속이다. 정부'지자체의 보조금으로 운영되는 연구기관에서 이런 마찰음이 반복된다는 점에서 인적 쇄신과 조직 개편이 시급하다는 여론이다.
패션의류와 봉제기술 분야 전문생산기술연구소인 패션산업연구원은 정부'지자체가 운영비를 보조하고 기업 연구과제 수행 등 민간사업비로 꾸려가는 연구기관이다. 2010년 한국패션센터와 한국봉제기술연구소를 통합한 이후 보조금이 크게 줄기는 했지만 매년 10억원이 넘는 혈세가 들어간다. 하지만 계속된 인사 잡음 등 조직 혼란과 업계와의 불협화음이 보여주듯 패션연의 역할과 경쟁력은 갈수록 추락했다.
특히 패션연의 경영 성과는 매년 뒷걸음질이다. 2012년 12억원 규모이던 민간사업 수입이 지난해 2억원으로 대폭 주는 등 크게 쪼그라든 상태다. 수행 과제와 신규 과제도 몇 년 새 반 토막이 났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전국 전문연구기관 8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경영 평가에서 패션연은 3년 내리 하위권을 맴돌았다. 게다가 김 원장의 불통에 대한 불신이 깊어지면서 관련 업계도 완전히 등을 돌린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경영 능력을 과대 평가한 이사회가 매년 원장의 보수를 올리고 폭행 물의까지 일으켰음에도 사표 수리를 미루는 등 어이없는 조치가 이어졌다. 의욕만 앞선 원장의 일방적인 기관 운영도 문제지만 이사회의 '좋은 게 좋다'는 식의 온정주의가 계속된다면 이는 패션연의 존립 가치마저 의심하게 만드는 잘못된 일이다.
연구개발을 통한 기업 지원이 목적인 전문연구기관이 제 역할을 못 하고 계속 문제만 일으킬 경우 마땅히 책임을 묻고 조직을 말끔히 쇄신하는 게 순리다. 대구시는 철저한 경영 평가 등 정밀 진단을 실시하고 인적 물갈이와 구조 개편을 단행해야 한다. 거액의 혈세가 들어가는 연구기관을 마냥 두고 볼 시민은 어디에도 없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