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유승민 '헌법 정치' 자기 정치 위한 궤변" 친박, 劉 비판

유승민 의원이 새누리당을 탈당해 무소속 출마를 선언하면서 '헌법의 정치'를 들고 나오자 친박계는 24일 "자기 정치를 위한 변명이자 궤변", 청와대는 무반응을 내놓았다.

유 의원은 전날 탈당을 선언하는 심야 회견에서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헌법 1조 2항을 내세우면서 "저는 헌법에 의지한 채, 정든 집을 잠시 떠난다"고 말했다.

사실상 박근혜 대통령을 겨냥해 "어떤 권력도 국민을 이길 수 없다"면서 무소속 출마의 변을 내세운 것이다. 청와대 기류를 잘 아는 여권 핵심 관계자는 "유 의원은 지난해 5월 국회법 파동을 일으켜 국민에게 대혼란을 줬던 모습에서 하나도 변한 게 없다"며 "자기반성을 찾아볼 수 없고, 본인의 무소속 출마를 정당화시키는 궤변으로 일관했다"고 비판했다.

청와대는 이날도 침묵을 지킨 채 '무언의 정치'를 이어갔다. 정연국 대변인은 "따로 언급할 게 없다. 드릴 말씀이 없다"는 말만 되풀이했다. 대신 청와대 관계자들은 "총선으로 국정의 블랙홀이 발생하지 않도록 경제, 안보 등 모든 현안을 하나하나 흔들림 없이 챙겨나갈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유 의원 사태에 대한 청와대의 의도된 침묵에는 '여권 지지층'을 향한 암묵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유승민 역풍'을 차단하고, 지지층을 향해 박 대통령 중심으로 국정에 힘을 모아달라는 함의가 있다는 것이다.

청와대의 침묵은 이번 사태가 총선 전체에 주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과 무관치 않다. 본격적으로 선거운동이 시작되면 중앙에서는 이른바 '정권 심판론 대(對) 국회 심판론'과 같이 큰 구도를 놓고 경쟁하고 되며 지역구 차원에서는 인물 경쟁력을 놓고 표심이 갈릴 것이란 분석에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