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의 4'13 총선 대구지역 공천이 계파싸움으로 파행, 일부 선거구에서 여당이 후보조차 못 낼 처지가 됐다. 친박과 비박 간의 싸움으로 대구 유권자들은 이번 총선에서 여당 후보에 대한 투표권마저 제한될 상황이어서 정치적 자존심이 무너지게 됐다.
새누리당의 공천으로 현역의원들이 무더기로 컷오프(공천 배제)된 데 이어 24일 김무성 대표가 대구 3곳을 포함한 5곳의 공천안 의결을 거부, 이번 총선에서 정당 선택권마저 제한당하는 초유의 상황을 맞게 됐다. 이 때문에 여당 텃밭이라 불릴 정도로 변함없는 지지를 보낸 새누리당에 대구시민들이 뒤통수를 맞았다는 얘기마저 나오고 있다.
새누리당 공천관리위원회는 상향식 공천을 무력화시키며 대구 현역의원을 줄줄이 컷오프시킨 데 이어 당 대표는 24일 후보 등록을 하루 앞두고 결정된 후보의 의결을 외면했다. 대구 동갑, 동을, 수성을, 달성군 지역 유권자들은 최악의 경우 새누리당 후보가 없는 투표용지를 손에 쥘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새누리당은 애초 공천혁명을 강조하면서 상향식 공천을 약속했다. 하지만 이한구 공관위원장은 대구의 3곳(서구, 달서을, 달서병)만 순수 경선을 치르도록 결정했다. 나머지 후보는 '컷오프(경선 배제) 뒤 경선' 3곳(중'남구, 북갑, 달서갑), '단수추천' 4곳(동갑, 동을, 수성갑, 달성), '장애인 및 청년'여성우선추천' 2곳(북을, 수성을)으로 정했다. 이 과정에서 3선 이상 중진 3명이 모두 공천 배제되면서 한 곳(달서병)만 제외하곤 후보들이 당선돼도 모두 초'재선이다.
특히 대구의 미래로 상징되는 유승민 의원마저도 갖은 수모를 주면서 쫓아냈다.
공관위는 향후 중앙 무대에서 대구의 정치력 약화를 걱정하는 시민들의 목소리를 철저히 외면했다. 한 정치권 인사는 "결과적으로 이한구 공관위원장이 대구의 정치력을 완전히 망가뜨렸다"며 "대구를 통해 중진의원으로 성장한 이 위원장이 고향을 짓밟은 격"이라고 했다.
김무성 대표는 한발 더 나아가 대구 유권자들의 정당 선택권마저 제한했다. 자신의 측근을 대부분 살린 김 대표는 공관위에서 결정한 대구 3곳의 의결을 거부했고, 법적 문제가 제기된 수성을에 대해서는 언급조차 하지 않았다. 해당 지역은 새누리당 후보 없이 친여 무소속 후보와 야당 후보 간 대결이 벌어질 공산이 커졌고, 유권자들은 새누리당 후보를 찍고 싶어도 찍지 못하는 사태에 직면했다.
실제 지역 주민들은 김 대표의 대구 3곳 의결 거부 발표 이후 허탈감을 감추지 않고 있다.
한 정치권 인사는 "시민 의사를 무시한 공천에다 당 대표는 투표권 제한 행위까지 했다. 지금까지 새누리당을 지지한 대가가 고작 이 정도냐. 친박과 비박 싸움에 대구 유권자들만 희생양이 됐다"고 했다.
장우영 대구가톨릭대 교수(정치외교학과)는 "정당이 고유 권한인 공천권을 포기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고 유권자 입장에서는 황당한 상황"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