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풍력발전단지 조성, 안전을 최우선해야

경북도와 영천시, 군위군은 28일 현대중공업㈜과 풍력발전단지조성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했다. 현대중공업이 400억원으로 용량 15㎿ 규모의 풍력단지를 조성하기 위해서다. 두 곳에 발전기 9기를 갖춘 풍력단지가 들어서면 경북은 연간 최대 9천여 가구가 사용할 전력을 확보한다. 또 지자체는 발전소 주변 지원사업과 연간 발전 규모에 따른 지방세 수입 증가로 재정에도 도움될 듯하다. 기업은 미래 에너지산업 진출에 따른 새로운 기회를 맞고 지자체는 기대한 효과를 거둘 경우 상생의 좋은 사례가 아닐 수 없다.

이번 투자양해각서는 오랜 준비 끝에 이뤄진 결과다. 경북도가 먼저 영천과 군위와의 여러 차례 사전협의를 거쳐 현대중공업에 단지 조성 투자 유치를 제안해 성사됐다. 경북도가 주도적으로 밑그림을 그리고 지자체와 손잡고 국내 굴지 대기업의 투자를 이끌어내기에 이른 셈이다. 사실 경북도는 신재생에너지 전략사업에 많은 공을 들이고 있다. 따라서 천혜의 지리적 환경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풍력단지 조성에 나선 것은 당연하다. 정부 정책과도 통하는 일이다. 게다가 현대중공업이 지역 인재를 우대 채용하고 농산물 이용과 발전소 주변 지원금 혜택 등까지 하면 금상첨화다.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나름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풍력발전소 건설에 따른 장밋빛 미래만 그려볼 수는 없다. 지금 국내 여러 곳의 풍력발전시설에서 크고 작은 사고가 일어나고 문제점들이 빚어져서다. 지난 5일 강원도 태백시의 태백풍력발전기 추락 사고가 한 사례다. 태풍에도 안전하게 설계됐지만 아직 밝혀지지 않는 이유로 높이 90m의 2㎿급 발전기 1기가 붕괴됐다. 예상치 못한 사고가 늘 생길 수 있어 안전성을 담보할 필요가 있다.

특히 경북 영덕처럼 풍력발전시설이 관광화 자원으로도 활용되는 마당이라 안전 문제를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아울러 지난 1999년 13억원을 들여 경북도가 울릉도에 설치한 풍력발전기의 고장과 장기간 방치 사례는 다른 교훈이다. 잘못하면 돈만 낭비하는 애물단지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설치 이후 시설의 철거와 이에 따른 훼손된 자연환경의 원상회복 문제도 소홀히 할 수 없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