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언제까지 현대차의 갑질 횡포를 지켜봐야 하나

현대자동차그룹의 '갑질' 논란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툭하면 하청업체를 옥죄어 대금을 깎거나 교묘하게 타사 제품을 못 쓰게 하는 일이 수시로 벌어진다. 언론에서 떠들고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조사를 해도 현대차는 고칠 생각이 없다. 중소기업'하청업체를 희생시켜 자신의 이익만 챙기려는 '갑질' 횡포가 체질화돼 있기 때문이다.

현대자동차에 자동차 부품을 공급하는 대구의 한 업체는 현대차그룹 계열사인 현대제철의 원자재로 제품을 생산할 수밖에 없다. 예전에는 품질과 가격이 훨씬 나은 해외 제철회사 2곳에서 시황에 따라 철강 원자재를 구입했지만, 현대차에서 무조건 현대제철 제품을 이용하도록 강요했다. 이 업체는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가격이 비싼 현대제철 제품을 쓸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현대차에서 내수용 섀시(차량 뼈대)를 공급받아 구급차를 생산하는 업체의 사례도 있다. 이 회사는 최근 외국 정부의 입찰을 포기했는데, 그 이유가 현대차의 압력 때문이다. 이 회사는 외국 자동차 회사에서 섀시를 수입해 해외 입찰을 시도했지만, 현대차에서 "외국 업체에서 물량을 공급받으면 국내 시장용 물량을 끊어버리겠다"고 알려와 입찰 계획을 철회했다. 이처럼 대기업의 횡포로 중소기업'하청업체들이 큰 피해를 입지만, 이를 제재할 방법은 거의 없다. 공정위가 지난해부터 익명제보센터를 운영하고 있지만, 익명 제보라도 불공정 거래 사실을 조사하면 제소 업체가 고스란히 드러날 수밖에 없어 이를 기피한다.

공정위에 따르면 현대차가 2008년부터 지난해 9월까지 불공정 하도급거래로 인해 9건의 제재조치를 받아 삼성(10건) 다음으로 많다고 했다. 부과된 과징금만 105억5천만원이다. 상습적으로 갑질 횡포를 부렸음을 알 수 있다.

요즘 현대차의 기업 이미지는 그리 좋지 않다. 국내용 차는 비싸고 수출용 차는 싸다는 이유로 인터넷에서는 '국민을 호구로 아는 기업'이라는 말이 퍼져 있다. 중소'하청업체에 대한 갑질 횡포가 계속된다면 기업 이미지는 더 곤두박질칠 수밖에 없다. 현대차는 하루빨리 중소기업'하청업체를 옥죄는 정책을 모두 없애고 상생의 길을 찾아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