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핵안보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리는 미'중 정상회담에서 대북 제재 이행과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의 한반도 배치 문제가 논의 테이블에 오를지 주목된다.
그러나 두 가지 사안이 실제 논의되어도 일각에서 제기하는 대로 미'중 정상 사이에 '빅딜' 형태의 물밑 협의가 이뤄질지는 물음표다.
워싱턴 소식통들은 29일 "이번에 미'중 정상이 만날 경우 최대 의제는 북한 문제가 될 것"이라며 "미국은 대북 제재 이행 과정에서 중국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할 것으로 보이고 중국은 이번 기회에 어떤 형태로든 사드 배치에 대한 문제를 제기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소식통들은 그러나 "미국도 그 나름대로 명분과 기술적 설명을 토대로 사드 배치문제에서 물러설 수 없다는 입장이어서 중국이 이번 회담에서 실제로 문제를 제기할지, 한다면 과연 어떤 강도로 할지는 두고 봐야 안다"고 밝혔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양자 회담을 하는 것은 시 주석이 국빈방문했던 지난해 9월 이후 6개월 만이다.
이번 회담에서 오바마 대통령은 북한 문제를 거론하며 중국이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안 초안 작성과 채택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점을 평가하고 앞으로 이행과정에서도 중국이 주도적 역할을 맡아줄 것을 촉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해 시 주석도 한반도 정세를 불안정하게 만드는 북한의 행위에 대응해 다자적 차원의 제재가 필요하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안보리 결의에 따라 제재를 성실히 이행하겠다는 입장을 밝힐 가능성이 커 보인다.
다만 시 주석은 제재 이외에 북한과의 대화와 협상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6자회담의 틀 내에서 비핵화와 평화협정을 병행 논의하자고 제안할 가능성도 있다.
특히 시 주석은 이번 회의를 계기로 한국과 미국이 군 당국 차원에서 협의 중인 사드의 한반도 배치문제가 자국의 안보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사실상 사드 배치에 반대한다는 뜻을 밝힐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 경우 오바마 대통령으로서는 사드 배치를 포함한 전략자산의 한반도 배치가 점차 심각해지고 있는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차원이라는 점을 적극적으로 설명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해 토니 블링큰 국무부 부장관은 이날 브루킹스연구소 강연에서 중국 정부에 사드의 기술적 성능과 제원을 설명하겠다고 제안했다고 밝히고 "중국은 우리의 말을 믿으려고 하지 않지만 우리는 사드가 무엇인지, 그 기술이 어떤 것인지, 무엇을 할 수 없는지를 설명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우리의 희망은 중국이 우리의 제안을 받아들여 이것이 자신들을 겨냥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확신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