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결혼시즌 축의금…5만원은 좀 적고, 10만원은 부담되고

'결혼의 계절' 봄이 왔다. 결혼을 손꼽아 기다려온 이들에게 싱그러운 봄은 설렘과 환희를 만끽하기에 '최고의 계절'이다. 하지만 축의금 지출이 늘어나는 직장인들에게는 가계 부담을 걱정해야 하는 '한숨의 계절'이기도 하다.

경제적으로 쪼들릴 지경까지 돼 가며 축의금을 낼 수는 없으니 받아든 청첩장을 앞에 두고 고민에 빠지는 건 당연하다.

정해진 축의금 가이드라인이라도 있으면 차라리 속이 편할 수 있다. 그렇지 못하니 상황을 따져 액수를 정하기 마련인데 여러 가지 변수를 고려하다 보면 머리가 지끈 아프기까지 하다.

최근 한 온라인 취업포털이 직장인 1천66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결혼식 1회 참석 때 지출하는 비용은 '5만원'이 60.3%로 가장 많았다. 이어 '10만원' 24.1%, '7만원' 7.8%, '3만원' 5.7% 순으로 조사됐다.

가족이나 친척, 친한 친구는 고민이 덜하다. 하지만 친하지 않은 직장 동료나 사회에서 알게 된 지인, 오랜만에 연락해 온 친구 등에게 청첩장을 받았을 때는 얼마를 해야 할지 난감하다.

올해 초 결혼한 이모(34'청주시 가경동) 씨는 직장 동료 A씨를 볼 때마다 축의금 생각이 나 씁쓸하다. 자신은 그 나름 A씨와 친하다고 생각해 그의 결혼식 때 축의금을 '10만원' 냈는데 A씨로부터 돌아온 자신의 축의금은 '5만원'이었기 때문이다. 이 씨는 "금액이 중요한 건 아니지만 이 사람에게 나는 그리 가까운 사람이 아니구나라는 생각이 들어 나도 모르게 거리감이 생기곤 한다"고 말했다.

최근에는 결혼식장 유형 또는 동행자 수에 따라 축의금 액수가 달라지기도 한다. 일반 대도시 기준 결혼식 피로연의 식대는 보통 3만원 안팎이다. 그러나 호텔 양식은 5만원을 훌쩍 뛰어넘는 곳도 있다.

이런 점을 생각하지 않고 축의금을 내거나 가족까지 동반한다면 의도치 않게 '민폐' 하객이 될 수도 있다.

직장인 김모(36'여) 씨는 "얼마 전 친구 결혼식에 남편과 같이 갔는데 둘씩이나 밥을 먹고 가면서 5만원을 낼 수 없어서 10만원을 냈다"며 "신랑, 신부의 부담을 생각하면 하객으로서 당연한 배려 아니겠느냐"고 반문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