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의 증가세가 둔화하고 있지만, 취약 계층의 부담은 오히려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 문턱을 넘지 못한 취약 계층이 조건이 나쁜 대출로 옮겨가는 '풍선 효과' 때문이다.
LG경제연구원 조영무 연구위원은 1일 '취약 계층 가계부채, 풍선효과 위험이 커지고 있다'라는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조 위원은 통계청의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를 분석해 연령대, 소득 계층, 취업종사자 지위 등에 따라 지난 5년간의 부채와 소득, 상환액 증가율 등을 살펴봤다.
먼저 저소득층의 상황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악화됐다. 소득 최하위 20%인 1분위 계층의 담보대출은 최근 5년간 63.9% 증가해 전체 가구의 증가율(39.6%)을 크게 앞질렀다.
같은 기간에 최하위 계층의 신용대출은 61.8% 급감했다. 신용대출이 어려워진 저소득층이 늘어난데다 이들 중 집이 있는 이들은 이를 담보로 대출을 늘렸다고 볼 수 있다.
부채상환 부담 자체가 가장 큰 이들은 2분위 계층이었다. 2분위 계층은 가처분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117.2%),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 비율(27.9%) 등이 가장 높았다.
아울러 취업난에 시달리는 청년층과 은퇴 이후 소득이 사라지는 노년층의 상황도 악화되고 있었다. 30대 미만 계층은 지난 5년간 금융부채가 가장 많이(54.3%) 늘어났고, 60대 이상 계층은 부채원리금 상환액의 증가율(196.3%)이 가장 컸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다시 보이네 와"…참사 후 커뮤니티 도배된 글 논란
"헌법재판관, 왜 상의도 없이" 국무회의 반발에…눈시울 붉힌 최상목
전광훈, 무안공항 참사에 "하나님이 사탄에게 허락한 것" 발언
임영웅 "고심 끝 콘서트 진행"…김장훈·이승철·조용필, 공연 취소
음모설·가짜뉴스, 野 '펌프질'…朴·尹 탄핵 공통·차이점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