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시장 야시장이 3일 개장한다. 1년간의 준비기간을 거쳐 마침내 문을 여는 서문 야시장은 대구의 새 야간 명소의 탄생이자 지역 전통시장에 활력을 불어넣는 기폭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관심을 모으기에 충분하다. 앞으로 250만 시민과 국내외 관광객이 다양한 먹거리'볼거리로 밤을 즐겁게 보내는 명소로 자리 잡고 야시장과 기존 시장 상인이 긴밀히 협력해 큰 시너지 효과를 낸다면 대구 대표 관광상품으로의 발돋움은 시간문제라고 할 수 있다.
야시장은 시장 정문에서부터 큰장삼거리까지 350m 구간에 펼쳐진다. 매일 오후 7시부터 자정까지 연중무휴다. 80개의 이동식 판매대에서 선보이는 한방꼬치 등 길거리 퓨전 음식과 인도네시아 볶음국수 등 갖가지 특색 있는 음식과 공예품 등은 방문객의 입과 눈을 즐겁게 하는데 모자람이 없다. 그동안 빈틈없는 준비 기간을 거친데다 대구시가 야시장을 대구를 상징하는 관광명소로 키우기 위해 철저한 계획'관리 등 뒷받침을 아끼지 않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야시장 개장이 지역 전통시장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 이불'침구류 등 국내 침장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서문시장 침장거리나 수건'양말'장갑 등 대구가 비교우위에 있는 섬유 제품의 성장에 거는 기대 또한 크다. 당장 큰장길 주변에 밀집한 수십 개의 침장업체가 야시장을 마케팅 수단으로 적극 활용에 나선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질 좋고 저렴한 대구의 침장'섬유 제품을 널리 알리고 시장 규모를 더욱 키울 수 있다면 금상첨화다.
홍콩이나 타이베이, 방콕 등 전 세계에서 관광객이 몰리는 관광도시에는 어김없이 야시장이 성업 중이다. 하지만 그 어느 야시장도 하루아침에 명소가 된 곳은 없다. 시민의 성원과 상인'지자체가 함께 고민하고 철저한 관리와 혁신에다 수십 년의 전통이 쌓인 결과다. 서문 야시장은 이에 비해 출발도 늦고 여건도 더 낫다고 할 수 없다. 대구를 상징하는 야간 명소로서의 명성과 경쟁력을 키우려면 두 배 이상의 땀과 노력이 필요하다. 이로 볼 때 출발 시점이 가장 중요한 시기다. 야시장이 관광도시 대구의 이미지와 도시 활력 제고에 큰 보탬이 될 수 있도록 각오를 새롭게 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