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덕도 6조는 '김해공항 존치' 전제…'활주로 2본 짜리' 밀양과 조건 달라
영남권 신공항 입지 선정 발표를 앞두고 쟁점이 되는 사항 중 하나가 경제성이다. 부산은 가덕도가 24시간 운항이 가능할뿐 아니라 공항 건설 사업비가 내륙인 밀양보다 낮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가덕도 공항은 6조원이면 건설비가 가능하고 산봉우리도 국수봉 하나만 절토하면 돼 10개 이상 깎아야 하는 밀양보다 환경 훼손도 적다는 논리다.
하지만 이 주장 뒤엔 '조건'이 숨어 있다. 가덕후보지 사업비 6조원 주장은 김해공항을 존치하는 것을 전제로, 또 활주로를 1본만 만든다는 가정이 깔려 있다. 활주로 2본짜리 통합 신공항을 건설하려는 밀양과는 다른 조건인 것이다.
산봉우리 절토 또한 마찬가지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및 미연방항공청 등 국제기구 규정에 따라 밀양 후보지에 대한 비행절차 수립 등 항공학적 검토 결과 진입 표면상의 산봉우리 4개의 일부만 절토하면 안전성이 충분히 확보되는데도 굳이 다른 조건을 내세워 산봉우리 절토 수를 크게 늘려 계산하고 있는 것이다.
◇부산이 주장하는 해공복합화물 비중 줄고, 밀양-부산신항 거리 30km '경쟁력 충분'
부산은 부산신항과의 연계를 통한 국내 물류 중심을 구축하기 위해선 가덕도에 신공항이 들어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전체 항공화물 중 해공(海空)복합운송화물의 비중이 적고 세계적으로도 감소 추세여서 부산의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실제 2014년 기준 전체 항공화물 13만2천t 중 환적화물은 0.5%에 불과하고, 특히 2012년 1만79t에서 2013년 5천679t으로 절반 가까이 줄어드는 등 2013년 이후 급감 추세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 물류도시 경우도 해공복합화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극히 미미해 홍콩(1.49%), 두바이(1.47%), 로테르담(1.44%), 싱가포르(0.62%)에 불과한 실정이다.
또 부산은 세계적인 복합물류 중심이 되기 위해선 부산신항과 최대한 가까워야 한다며 가덕도를 주장하고 있지만 부산 신항과 밀양후보지와의 거리도 30㎞에 불과해 경쟁력 확보가 충분하다. 실제 대표적인 공항-항만 도시인 네덜란드 로테르담 경우 스키폴공항과 로테르담항과의 거리가 60㎞ 정도 되고, 중국 푸둥 공항과 상하이항은 32㎞, 홍콩 첵랍콕 공항과 홍콩항과의 거리는 22㎞, 싱가포르 창이 공항과 싱가포르항도 20㎞ 정도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