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야고부] TUKK 대 P

2014년 10월 2일 경남 창원 컨벤션센터에 부산, 울산, 대구, 경북, 경남 등 5개 시도지사가 모였다. 신공항 건설을 비롯한 영남권 상생 발전을 위한 협력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자리였다.

최대 화두는 단연 신공항 문제였다. 정부는 이미 영남권 항공 수요 조사 결과 발표를 통해 신공항 건설의 당위성을 인정해 둔 터였다. 남은 것은 5개 시도지사의 합의였다. 과도한 유치전을 벌이다 MB정부 때 신공항 백지화 빌미를 준 것은 반면교사가 됐다. 5개 시도는 ▷신공항 조기 건설 ▷경제적 논리에 입각해 객관적이며 투명하게 진행 ▷정부 용역 결과 수용 등에 합의했다. 서병수 부산시장도 이에 서명했다.

하지만 서 시장은 합의를 지키지 않았다. 신공항 입지 선정이 임박하자 합의를 휴지 조각으로 만들었다. 부산 경제계가 뒤를 따랐고 정치권이 움직였다.

부산으로선 신공항 입지가 밀양이 되건 가덕도가 되건 별반 차이가 없다. 부산시청에서 밀양시 하남읍까지 주행거리는 55㎞, 가덕도까지는 38㎞ 정도다. 거리상 17㎞ 정도 차이일 뿐만 아니라 교통 상황을 고려하면 가덕도 가는 길이 밀양보다 멀 때가 더 많다. 대구라면 상황이 다르다. 밀양은 69㎞고 가덕도는 123㎞다. 경북도청은 말할 것도 없다. 밀양은 179㎞, 가덕도는 232㎞다. 262㎞ 떨어진 인천국제공항 가는 길만큼 멀다. 굳이 가덕도 공항을 이용할 이유가 사라진다.

그런데도 부산이 가덕도를 고집하는 것은 지역이기주의다. 밀양 신공항이 불편해서가 아니라 행정구역상 경남에 속해서 싫은 것이다. 신공항 건설에는 10년 이상에 걸쳐 적어도 10조원 이상의 자금이 투입될 것이다. 합의를 깨면서 부산시와 부산 출신 정치인, 상공인들이 똘똘 뭉쳐 가덕도를 외치는 것은 이 때문이다. 부산지역에 공항을 건설하는 것이 부산지역 기업에 유리할 것이라는 것은 자명하다. 여기에는 부산을 위해서라면 다른 시도민이 어떤 불편을 겪어도 그만이다는 이기심이 배어 있다. 대구'경북이 가까운 경북을 두고 굳이 경남 밀양으로 양보하고 지지하는 것과 대비된다.

그러니 일부 정치인들이 신공항 부지 선정을 두고 TK 대 PK의 대결로 몰아가는 것은 옳지 않다. 분명한 것은 TUKK(대구 울산 경남 경북)의 대승적 상생 합의에 P(부산)가 소승적 지역 이기주의를 위해 어깃장을 놓는 것이다. 정부와 정치권의 현명한 판단이 요구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