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학생부 조작, 전수조사 통해 불신 없애야

대구 동구의 한 고등학교 교사가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의 일부 기록을 조작한 것으로 드러났다. 대구시교육청의 조사 결과, 이 교사는 권한도 없이 지난해 자신이 지도한 105명의 동아리 학생 가운데 30명의 기록을 39차례에 걸쳐 추가한 것으로 밝혀졌다. 학생부는 지금 대학 입시 전형에서 어느 때보다 중요시되고 있다. 입시 당락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교육 당국의 철저한 규명과 함께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에 대한 목소리가 큰 까닭이다.

이번 일은 한 교사의 잘못된 제자 사랑에서 출발했다. 자신이 지도한 동아리 학생을 위한다는 명분인지는 모르겠지만 분명히 지나친 행동으로 그 책임은 면할 수 없다. 자신이 지도했다는 이유만으로 동아리 소속의 특정 제자에게 유리하게 한 행위는 차별 없이 제자를 아끼고 사랑해야 하는 교육자로서의 자격을 저버린 것이다.

또한 교사로서 당연히 지켜야 할 법을 무시한 자세도 문제다. 이번에 저지른 학생부 조작은 정부가 관리하는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에 접근할 수 있는 인증서를 불법으로 복사해 사용함으로써 가능했다. 그는 평소 친분 있는 동료교사의 인증서를 무단으로 복사해 공적인 목적으로 설치한 전산시스템을 개인 목적을 위해 침범한 것이다.

NEIS 관리 문제점은 없었는지도 살펴봐야 한다. 그는 불법 인증서로 지난해 2월부터 올 2월까지 무려 1년 동안 30명 학생의 기록을 39차례나 추가했다. 학교가 지난 5월 말 뒤늦게 이를 알고 시교육청에 보고했으니 이전까지는 누구도 이를 알지 못했던 셈이다. 학생부의 교과성적만큼은 아예 손을 대지 못한 사실에 비춰 NEIS 운영과 교사의 개인 인증서 관리에 허점이 있었던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

이번 일은 교육행정에 대한 학부모의 불신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그만큼 해당 교사의 문제로만 넘어갈 수 없다. 교육 당국은 다른 학교에도 유사한 일이 없었는지 전수조사를 해야 한다. 아울러 평소 소홀했던 교사들의 개인정보 및 인증서에 대한 철저한 관리를 위한 교육 강화도 필요하다. 자칫 이번 같은 일로 교육도시로 명성을 쌓아가고 있는 대구 교육계 전체가 불신을 받아서는 결코 안 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