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대출이 올해만 3조5천억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13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KEB하나·농협·기업 등 6대 은행의 전세대출(기금을 제외한 은행계정)은 올해 1~5월에만 3조4천974억원이 증가했다.
이는 전세난이 심화했던 지난해 같은 기간 2조248억원과 비교해 무려 72%에 달하는 1조4천726억원이 증가한 것이다.
은행별로는 우리은행이 1조2221억원으로 가장 많이 증가했고, 국민은행(7313억원), 농협은행(6713억원), 신한은행(5767억원), KEB하나은행(3030억원) 순으로 늘어났다.
전세자금 대출이 늘어난 주요 원인은 전세금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KB국민은행 주택가격 동향조사에 따르면 5월 기준 전국 평균 전세금은 2억136만원으로 작년 5월(1억7256만원)에 비해 2880만원(16.7%) 증가했다. 서울 아파트 전세금은 같은 기간 3억4111만원에서 4억676만원으로 19.2% 뛰어올랐다.
전문가들은 전세난이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 데다가, 기준금리 인하로 은행권 대출 금리가 내리면 앞으로 전세대출이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실제 한국은행이 지난해 6월 기준금리를 연 1.75%에서 1.50%로 0.25%포인트 내리자, 6대 은행의 전세대출은 비수기였던 7~8월 두 달 동안 1조원 넘게 급증했다.
한편 통계청에 따르면 서울에서 경기 등지로 전출해 작성한 전입신고서의 전입 사유는 주택문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최근 주택경기가 둔화하고 전세 대란이 계속됨에 따라 순유출 추세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이런 전국적인 분위기와는 다르게 대구의 경우 집값 하락세가 심상치 않다. 거래도 줄고 전셋값도 떨어지고 있다. 전세의 경우 저금리 등으로 공급량이 워낙 줄어 지방에서도 떨어지는 곳이 많지 않은데 대구는 5개월 만에 1.38%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