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수의→공개→수의계약…포스코 입찰 갑질

원가절감 이유 오락가락 변경…낙찰 점수 공개 요구도 묵살

포스코가 원가절감과 민원 등을 이유로 입찰계약 방식을 '수의-공개-수의'로 자꾸만 바꾸면서 애먼 외주사와 지역 업체가 경제적 피해를 입는가 하면 업체 간 갈등도 빚어지고 있다.

포스코는 지난해 3월 안전 관련 분야 외주에 대해 원가절감을 이유로 공개입찰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지역 한 업체를 끌어들였다. 이 과정에서 낙찰 점수를 해당업체에 알려주지 않아 말썽을 빚었고, 이를 알려달라는 요구도 묵살해 비난을 샀다. 광양제철소가 공개입찰 결과를 정확히 알려주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또 안전 관련 기존 외주사가 별다른 결격사유가 없는 상황에서 원가절감을 앞세워 외주업무를 공개입찰계약으로 바꾸고, 해당 외주사는 수익률이 떨어지는 경제적 피해를 입기도 했다. 여기에다 공개입찰에 참여한 지역업체가 입찰에 대한 불만을 지속적으로 제기하며 잡음을 일으키자, 포스코는 돌연 '수의계약'으로 계약방식을 또다시 바꿔 일관성 없는 계약정책을 드러냈다.

포스코 측은 "원가절감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 기존의 '수의' 방식을 '공개'로 바꿨는데, 이것이 되레 업무진행에 방해될 정도로 잡음이 많아 올해부터 다시 기존 방식대로 수의계약을 진행하기로 했다"며 "낙찰자 점수를 요구하는 지역업체에 대해 점수 차를 알려주긴 했지만, 일부 직원이 고압적인 태도를 보인 것은 분명 잘못된 행동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포항철강관리공단 한 관계자는 "포스코가 원가절감을 이유로 오락가락 계약정책을 펼치면 외주사도, 지역업체도 혼란스러워질 수밖에 없다"며 "포스코와 외주사의 특수한 관계를 고려해서 업무를 진행해야지, 돈만 아끼려는 정책은 외주사와 지역업체 모두를 힘들게 한다"고 말했다.

외주사 한 관계자는 "최근 포스코가 어려워지면서 인건비 정도만 남을 정도로 박하게 계약을 진행하고 있는데, 공개입찰을 통해 원가를 더 줄이려 한다면 외주사 운영은 더욱 힘들어 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