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실업률이 5월 기준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올라갔지만 실업률은 4개월 연속 동월 기준 역대 최고를 기록하며 고공행진을 지속했다.
취업자 수 증가 규모도 두 달 연속 20만 명대에 머무른 것으로 집계됐다.
통계청이 15일 발표한 '5월 고용동향'을 보면 청년층 실업률은 9.7%로 0.4%포인트 올랐다. 이같은 청년실업률은 1999년 6월 실업자 기준을 구직 기간 1주일에서 4주일로 바꾼 이후 5월 기준 가장 높은 수치다. 청년실업률은 올해 2월부터 매달 동월 기준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다.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다른 직장을 구하는 취업 준비자와 입사시험 준비생 등 사실상 실업자를 고려한 체감실업률은 10.8%로 나타났다.
5월 취업자 수는 2천645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6만1천명 증가했다.
올들어 월간 취업자 수 증가 규모는 1월 33만9천명을 기록한 이후, 2월 22만3천명으로 줄었다가, 3월엔 30만명으로 다시 늘었지만, 4월 25만2천명, 5월 26만1천명으로 2개월 연속 20만명대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또 경제활동인구는 1년 전보다 24만4천명 늘었고 고용률은 61.0%로 0.1%포인트 상승했다. 전체 실업률은 3.7%로 0.1%포인트 하락했다.
지역별로 보면 조선업이 몰린 경남 지역의 실업률이 3.7%로 전년 대비 1.2%포인트 오르는 등 전국에서 실업률이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심원보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6월에는 서울시 공무원 시험 등이 있어 6월 고용동향에는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구조조정 영향도 아직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경남의 경우 제조업 취업자가 감소하고 실업률이 올라가는 등 일부 영향이 보이는 곳도 있다"고 설명했다.
5월 제조업 취업자 증가 폭은 5만명에 그쳤다. 올 3월까지 23개월 연속 10만명 이상 증가하며 호조를 이어왔던 제조업 취업자는 지난 4월 증가 폭이 4만8천명으로 떨어지며 2013년 11월 이후 2년 5개월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하반기 들면서는 현재 진행중인 기업 구조조정과 함께 조선업 등 부문의 일감 축소가 시작되면 고용시장에 본격적인 한파가 몰아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자영업자는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비임금근로자 중 자영업자가 563만2천명으로 1년 전보다 7만명(-1.2%), 무급가족종사자는 117만5천명으로 2만7천명(-2.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593만2천명으로 1년 전보다 16만9천명(1.1%) 증가했으며, 취업준비생은 65만1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4만2천명(7.0%) 늘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