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둥이의 얼굴에 피어나는 웃음은 절로 우리를 흐뭇하게 한다. 아이들도 아버지의 팔에 안겨 얼마나 즐거울까 하는 상상을 해본다. 그런데 아이의 웃음 짓는 모습보다 왠지 아버지의 등이 더 눈에 띄는 것은 왜일까? 내가 아버지가 되었기 때문일까? 동병상련의 인지상정이 먼저 작용해서일까?
필자가 즐겨 읽던 시 한 편을 소개하고자 한다. 하청호 시인의 이란 시이다.
'아버지의 등에서는/ 늘 땀 냄새가 났다// 내가 아플 때도/ 할머니가 돌아가셨을 때도/ 어머니는 눈물을 흘렸지만/ 아버지는 울지 않고/ 등에서는 땀 냄새만 났다// 나는 이제야 알았다/ 힘들고 슬픈 일이 있어도/ 아버지는 속으로 운다는 것을// 그 속울음이 아버지의 등의 땀인 것을/ 땀 냄새가 속울음인 것을.'
두 아이를 안은 아버지의 등에서 이 시대의 아버지들이 보인다. 아이들을 즐겁게 해주기 위해 두 팔로 불끈 안아 쥔 아버지의 모습에서 두 아이의 무게보다 훨씬 더 무거운 무게감이 읽혀진다. 내가 첫아이를 얻었을 때 느끼던 책임감의 무게들. 아이가 생겼다는 즐거움보다 결연한 심정으로 변한 결의는 비단 나만 느끼는 감정이 아니었을 듯하다. 모든 아버지들은 이 아이들을 먹여 살리고 가르쳐야 한다는 중압감과 책임감이 교차했을 법하다. 또한 양적인 문제보다 어떻게 하면 아이를 잘 양육할 것인가 하는 고민도 덤으로 따라다녔다. 막상 아이들을 키우다 보면 별거 아닌 듯이 보이지만 초보 아빠의 비장함은 지금 생각하면 고개가 절로 끄덕여진다.
정신없이 아이들을 키우고 난 어느 날, 아버지들은 늙어 있고 경제성이나 아버지로서의 효용성이 현저히 추락해 있다. 불꽃이 사그라져가는 연탄처럼 머리엔 하얀 잿더미가 쌓이고 아버지는 더 이상 어릴 때 힘 좋게 키우던 아이들의 아버지가 아니다. 용돈을 줘야 하는 아버지, 할 일 없이 시간만 퍼 나르는 시간의 지게꾼처럼 보이는 아버지. 그 듬직한 아버지의 등, 기억해야 할 만한 아버지의 등이 자꾸만 굽어져 가고 있다. 그런 깨달음을 얻었을 땐 이미 아버지는 나의 곁에 없다는 것이다. 아이들이 아버지 때문에 웃고 만족한 시간을 조금이라도 기억한다면 이 시대의 아버지들은 한층 더 당당해질 것이다. 이젠 쌍둥이의 저 웃음에 찬 만족만큼이나 아버지들을 대신 만족시켜줄 거라는 기대를 해본다.
1993년 小史
▷김영삼정부 출범=1993년 2월 25일 김영삼 대통령이 제14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김영삼정부는 군부 출신의 대통령이 아닌 민간인 정부라는 의미로 문민정부라고 불렸다.
▷금융실명제 실시=1993년 우리나라의 모든 금융거래를 금융거래 당사자 본인의 이름으로 하도록 하는 제도를 도입했다. 지하 금융경제를 양지로 끌어내기 위한 조치였다.
▷쌀 개방-UR 타결=UR농산물협정은 1993년 12월 타결되어 각국의 비준을 거쳐 1995년 1월 1일부터 정식 발효되었다. 이에 따라 선진국은 1995~2000년까지 6년간 약속한 의무를 이행했고, 개발도상국은 1995~2004년까지 10년간 약속한 의무를 이행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