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새누리당 혁신비상대책위원회의 탈당 무소속 당선 의원들의 복당 허용으로 새누리당이 뒤숭숭하다.
특히 8월 9일로 날짜를 못 박은 전당대회까지 '지각 변동'이 불가피하게 됐다. 복당이 확정됐거나 추후 복당 절차를 밟을 것으로 예상되는 7명 가운데 윤상현 의원을 제외한 6명이 모두 비박계로 분류된다. 친박계에 세력에서 밀리는 비박계로서는 세력이 커진 셈이다. 일각에서는 유승민 의원이 비박계 주자들에 힘을 실어주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직접 당 대표에 뛰어들어 판도가 근본적으로 출렁일 것이라는 추측도 제기된다.
최대 관심은 친박계 좌장격인 최경환 전 경제부총리와 비박계의 유력 차기주자로 떠오른 유승민 의원의 맞대결이다. 성사가 된다면 친박'비박이라는 대척점에 두 의원이 대구경북(TK) 지역의 맹주 자리를 놓고 벌이는 '빅매치'가 된다.
가능성은 현재로서는 미지수다. 최 의원이 출마 여부에 대해 아직 공식적 입장을 내놓고 있지 않은데다, 유 의원 역시 여기에 대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다.
최 의원은 총선 패배에 따라 자숙의 시간을 가지며 전대 출마엔 손을 젓고 있지만, 주변 분위기는 '역할론'을 들어 출마에 무게를 싣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박근혜정부의 성공을 외쳤던 그가 정권 후반기 구원투수 역할을 해야 하지 않겠느냐"는 관측을 내놓으며 "친박계 역시 대선을 앞두고 당권 장악을 위한 카드로 최 의원에게 힘을 몰아줄 가능이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혁신비대위가 최근 '당 대표-최고위원' 분리 투표를 결정하면서 친박계 내에서는 1명의 후보를 당 대표로 내세우는 대신, 당권 도전 의사를 밝힌 나머지 후보를 최고위원에 나서도록 하는 방안이 대안으로 거론되기도 한다.
이 때문에 당 대표 선출을 위한 전대에서 친박계 1명의 후보와 비박계 정병국 의원의 '맞대결'이 성사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그러나 이날 혁신비대위가 유 의원의 복당을 승인하면서 비박계에서는 유 의원을 내세우는 후보군 재편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유 의원은 지난 총선을 거치면서 여권의 잠재적 대선주자로 떠올랐다. 비박계 대표주자로 나서면 대선주자급 후보라는 점에서 친박계와 '양강구도'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차기주자인 유 의원의 경우 당권'대권 분리 규정이 걸림돌이다. 전대에 출마하면 차기 대권 도전이 불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유 의원이 복당 이후 곧바로 전대 출마를 선택해 친박'비박의 당권투쟁 전면전이라는 무리수를 두기보다는 비박계 후보 지원으로 방향을 선회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유 의원은 이날 전대에서 역할론을 묻는 기자 질문에 "오늘 복당이 결정 났으니까 차차 생각해 보겠다"며 구체적 언급을 피했다. 그러나 복당 결정 후 그는 "국민이 원하고 시대가 요구하는 보수의 개혁과 당의 화합을 위해 당원으로서 모든 것을 바치겠다"고 밝혀 듣기에 따라서는 총선에서 과반이 붕괴되며 민심으로부터 외면받은 당의 현 구도를 직접 나서 깨뜨리겠다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비박계 내에서는 유 의원이 당권이 아닌 대권 직행을 택할 가능성이 높아 당권 도전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점친다. 유 의원이 직접 당권에 도전하지 않더라도 선거 판세는 유 의원의 복당 이전과 달라질 양상이다. 탈당파 의원들 대다수가 비박계라는 점에서 이들이 똘똘 뭉칠 경우 표심에 미세한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관측된다. 만약 친박계가 후보군을 정리하지 못하고 3명 이상이 당 대표에 도전할 경우 표 분산에 의해 비박계에 유리한 판세로 흘러갈 수 있다. 또 전대 과정에서 탈당파들이 지난 총선 참패의 원인을 공천으로 지목하며 공격에 나서면 여론이 친박계에 불리하게 전개될 가능성도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