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전직 심판위원장 검찰조사…'비리 판도라 상자 열리나'

K리그 심판매수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이 프로축구연맹 전직 심판위원장들까지 소환 조사해 프로축구에 더 큰 파문이 미칠 전망이다.

경남FC와 전북 현대의 심판매수 사건 등 2013년 이후 벌어진 사건만 들여다봤던 검찰이 두 전직 심판위원장의 조사를 통해 이들의 재임 시절인 2008년까지 수사를 확대하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렇게 되면 승부조작과 심판매수 사건으로 곤욕을 치렀던 프로축구 K리그가 또한 번 큰 위기에 빠질 것으로 우려된다.

부산지검 외사부(김도형 부장검사)는 한국프로축구연맹 심판위원장과 대한축구협회 심판위원장을 지냈던 A씨와 그의 뒤를 이어 프로연맹 심판위원장을 맡았던 B씨를 소환 조사해 비리혐의를 상당 부분 확인하고, 기소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16일 알려졌다.

프로연맹과 축구협회 심판위원장 출신의 A씨는 2013년 5월 대한축구협회가 시행한 심판 체력테스트에서 특정 심판을 비호했다는 의혹을 받아 권고사직한 전력도 있다.

프로연맹은 지난해부터 심판 배정 투명성 강화 차원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해 경기별로 심판을 자동 배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전에는 심판위원장이 사실상 심판배정의 전권을 쥐고 있어 상납의 고리가 존재했다는 이야기가 심심치 않게 흘러나왔다.

이 때문에 심판위원장을 중심으로 심판계 내부에서도 파벌이 생겼다는 주장도 나왔다. 심판들은 생존을 위해 심판위원장에게 상납할 수밖에 없고 일부 프로구단들도 유리한 심판배정을 위해 심판위원장의 눈 밖에 나지 않으려고 노력했다는 소문도 돌았다.

프로연맹 관계자는 "심판 비리를 막기 위해 제도 개선을 하는 상황에서 심판 비리와 관련된 사건들이 계속 터져 나와 곤혹스럽다"며 "비리나 부적절한 관행을 뿌리 뽑는 차원에서 수사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