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영남권 신공항 입지 선정 발표가 이번 주에 이뤄질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신공항 무용론'과 '제3안의 대안' 등 현실을 무시한 주장들이 터져 나오고 있다. 3'4면
일부 수도권 언론들이 밀양과 가덕도의 입지 갈등을 증폭시키며 '퍼주기 혈세 낭비' '김해'대구공항 확장' 등의 합리적이지 않은 주장들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토교통부와 영남권 시도는 '영남권 신공항'은 선심성 지역 발전 공약이 아니라 폭증하는 항공 수요를 따라잡기 위해 시급히 건설이 필요한 필수적인 사회간접시설(SOC)이라는 입장이다.
우선 폭증하는 항공 수요를 위해서는 영남권 관문 공항 신설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014년 8월 영남권의 항공 수요가 2030년이 되면 3천462만 명에 이를 것이란 수요 예측 결과를 발표했다. 영남권 5개 시도 관계자들은 "국제선 수요 증가와 함께 저가 항공사 취항 등이 맞물리면서 항공 수요가 해마다 급증하고 있다"며 "현재 김해와 대구공항은 2020년이 넘어서면 포화 상태에 이르게 되며 인천공항은 현재도 수요가 급증해 이용객이 불편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신공항 건설비를 근거 없이 부풀려 제시하는 것도 맞지 않다는 지적이다. 2011년 영남권 신공항 입지 평가 당시 국토부는 건설비로 10조원을 예측했지만 항공학적 검토 등을 거친 결과 최종 예상 건설비는 활주로 2본을 기본으로 할 때 밀양의 경우 4조6천억원으로 추정되고 있다. 인천공항의 경우 이미 8조5천억원이 투입됐고 확장공사가 끝나면 총 건설비가 13조원을 넘는 것을 감안하면 30% 정도에 그치는 비용이다.
김해 및 대구공항 확장과 제3 후보지 선정도 현실성이 떨어진다. 김해와 대구공항은 군이 소유권을 가진 군사공항인 데다 도심과 근접한 입지적 여건 등을 고려할 때 확장이 더 이상 불가능해 영남권 관문 공항 기능을 할 수 없고 영남권 신공항 후보지도 35개의 입지를 두고 최종 평가를 거쳐 밀양과 가덕도 2곳이 선정된 것이다.
영남권 시도 관계자들은 "수도권 공항에 국비를 투자하는 것은 당연한 사업이고 지방에 공항을 짓는 것은 '혈세 낭비'란 것은 수도권 입맛에만 맞춘 것"이라며 "대구나 부산 등 영남권 시도들이 영남권 신공항 필요성에 대해서는 모두가 절실한 과제란 것에 동의하고 있어 입지 경쟁을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