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대구시장과 경북지사, 신공항 백지화 후속책 내놓을 때다

다른 시·도 지역과 보조 맞출 대안 마련 나서고

대구경북 정치권의 한목소리도 이끌어 내야

정부가 21일 영남권 신공항 백지화와 함께 김해공항 확장을 발표하자 신공항을 추진했던 영남권 5개 시'도지사의 입장도 극명하게 서로 갈렸다. 권영진 대구시장과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이날 즉각 반발하며 정부 발표의 수용 불가 입장을 밝혔다. 서병수 부산시장 역시 불만을 나타내며 가덕도 신공항 재추진 의사를 분명히 했다. 이들과 달리 홍준표 경남지사와 김기현 울산시장은 수용 의사를 드러냈다. 정부의 신공항 정책에 대해 이들 시'도지사가 앞으로 선택해 갈 길도 서로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5개 시'도지사의 엇갈린 입장이 시사하는 것처럼 이해관계가 다른 만큼 앞으로 이들이 보일 행동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대구시장과 경북지사, 부산시장의 행보가 그렇다. 부산시장은 1년 전 대구에서 이뤄진 5개 시'도지사 사이의 합의조차 파기하면서까지 독자 행동을 한 것처럼 초지일관이다. 단독으로라도 가덕도 신공항을 재추진하겠다는 태도다. 부산상공회의소, 관련 단체 등도 계속 종전과 같은 활동을 이어갈 것임을 짐작게 하고 있다. 말하자면 부산의 큰 가닥은 여전히 가덕도 신공항으로 잡힌 셈이다.

이들 부산'경남'울산의 시장'지사와 달리 대구시장과 경북도지사는 공동보조에 나설 것이 확실하다. 이미 권 시장과 김 지사는 정부의 발표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반대 입장과 함께 영남권 다른 시장'지사와 머리를 맞대 공동 대응책을 마련하겠다는 견해도 표명했다. 이는 특정 지역보다 영남권 전체의 발전을 위함이다. 김 지사는 지난 정부 시절부터 대구시와 보조를 맞춰 신공항을 추진해 온 만큼 대구시와 더욱 긴밀한 협조를 이뤄갈 것이 틀림없다. 두 시'도 간의 빈틈없는 공조를 말해주는 부분이다.

문제는 권 시장과 김 지사가 향후 펼쳐야 할 활동 방향에 대한 구체적인 밑그림을 어떻게 그리느냐다. 이제부터는 발표 이전과 달리 행동과 실천이 필요한 때이기 때문이다. 사실 시장과 지사는 정부의 공정한 용역을 위해 5개 시장'지사 간의 합의 정신을 존중할 것을 강조하며 침묵을 지켰다. 그러나 침묵은 더 이상 도움이 되지 않았다. 따라서 우선 시장'지사는 지역민의 의견을 수렴하고 만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백지화 이후 활동 방향과 대안 마련 등 대책을 갖고 영남권의 다른 시'도와 공동 활동 모색에 나서야 한다.

아울러 대구경북 정치권의 절대적인 협조도 이끌어내야 한다. 벌써부터 정부 발표와 관련해 지역 여'야 정치권에서 다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정부 발표에 비판적인 더불어민주당의 김부겸 의원과 수용을 주장한 새누리당 최경환 의원이 대표적이다. 정부 발표 이전부터 일사불란하게 목소리를 높이며 부산시장과 손발을 맞춰온 부산 지역의 정치인 활동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시장과 지사가 이런 정치권의 목소리를 하나로 묶는 데 남다른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까닭이다. 대구시와 경북도의 미래에 관한 일이어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