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대구시의 신공항 용역 검증, 대응은 차분하면서도 단호하게

정부의 김해공항 확장안에 대해 대구시가 22일 해외 용역 기관의 사전타당성 검토 결과부터 꼼꼼하게 검증하겠다는 공식 입장을 발표했다.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의 용역 결과가 기존 연구 조사와 큰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만약 용역 결과가 타당하지 않거나 잘못이 드러날 경우 불복 선언도 검토하겠다고 시는 밝혔다.

신공항 건설 문제가 나온 이후 김해공항 확장안은 불가능하다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소음 피해에다 돗대산 등 주변 지형이 항공기 이착륙에 큰 걸림돌이라는 이유에서다. 2002년 중국 민항기 사고만 봐도 김해공항이 안고 있는 위험성을 알 수 있다. 백번 양보해 확장안이 최적의 대안이라면 정부 의뢰로 국내 기관이 여러 차례 조사한 김해공항 확장 방안 검토는 수박 겉 핥기식이었다는 말이 된다.

정부가 4조원 이상을 들여 활주로와 시설을 확충하면 거점 신공항이 될 것이라고 아무리 주장해도 김해공항은 안전성'경제성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견해가 우세하다. 정부는 3천200m의 활주로 1본으로도 연간 3천800만 명의 여객 수요를 수용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A380과 같은 대형 항공기가 뜨고 내리기에는 활주로가 짧고, 운항 편수 증가로 소음 피해는 더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이런 요인 때문에 24시간 운영 공항은 애초 불가능하다.

경제성 문제도 짚어봐야 한다. V자형 활주로 신설에는 330만㎡(100만 평) 이상의 토지를 구입해야 하는 등 비용 부담이 만만찮다. 접근성 개선을 위한 도로'철도 공사비 또한 정부가 제시한 6천억원으로는 어림도 없다는 의견이다. 게다가 활주로가 들어설 구역은 연약 지반인 탓에 향후 지반 침하 우려도 크다. 공항 확장성도 걸림돌이다. 20년 내 항공 수요가 늘어나 김해공항을 더 이상 확장할 수 없는 상황이 되면 또다시 신공항 문제가 제기될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대구시가 용역 결과를 조목조목 검증하겠다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신공항 백지화에 대구경북 전체가 흥분하고 불신의 목소리만 내는 것은 바람직한 해법이 아니다. 확장안이 타당한지 먼저 차분히 검증하는 것이 우선이다. 그다음 정부 방침에 불복하든 말든 대처하는 게 성숙한 자세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