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님의 비밀
자현 지음'사진 석공/ 조계종 출판사 펴냄
사람들은 스님들이 나물만 먹고 '청산별곡'을 부르며 사는 줄 안다. 하지만 스님이 되기 위해서는 때론 사회보다 더 치열한 관문을 통과해야 한다.
법명조차 없이 '행자'로만 불리는 단계를 거쳐 사미(니)가 되려면 5급 승가고시를 통과해야 한다. 이어 최소 4년의 강원 과정을 마치고 나서는 또 4급 승가고시를 봐야 한다. 여기서 탈락하면 '정식 승려'가 되는 건 꿈도 꿀 수 없다. 이후 2년의 전문 과정이나 4번 이상 안거 혹은 석'박사 학위를 따고 나서야 3급 승가고시를 볼 수 있는 요건을 갖춘다. 이 과정이 모두 끝나고 3급 승가고시를 통과해야 비로소 조그마한 사찰의 주지를 할 수 있는 '자격'이 생긴다. 이후 2급, 1급 등의 승가고시를 모두 통과하면 원로 대접을 받을 수 있다. 한 번도 아니고 무려 다섯 번의 시험을 통과해야 소위 '큰스님'이 되는 것이다.
이 책은 크게는 출가에서부터 열반까지, 작게는 봄 여름 가을 겨울, 더 작게는 아침 도량석에서부터 저녁 취침까지, 스님들은 어떻게 수행하고 어떻게 사는지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출가에서부터 큰스님이 되고 또 입적을 하는 순간까지의 과정을 단계마다 세세히 설명해 놓고 있다. 더불어 2천600년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때론 오해와 실수가 만들어낸 스님들의 수행과 일상을 고스란히 엿볼 수 있다.
이 책의 또 다른 백미는 사진이다. 부산 범어사에서 오랫동안 수행하고 있는 석공 스님은 틈날 때마다 사진기를 사찰 안과 스님들의 의식에 들이밀었다. 절 밖에 사는 사람들이 함부로 접근하지 못하는 곳이다. 이러한 사진은 때론 책의 내용을 더욱 풍부하게 하기도 하고 눈을 시원하게 하기도 한다. 304쪽, 1만7천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