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실제 수면시간이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AIA생명이 아태지역 15개 국가를 상대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한국인의 실제 수면시간은 6.3시간이었다. 이는 아태지역 평균 실제 수면시간(6.9시간)보다 0.6시간가량 적은 것이다. 또 응답자가 희망하는 수면시간인 기대 수면시간도 7.5시간으로 아태지역 평균 기대 수면시간(7.9시간)보다 적었다.
수면과 체중, 식습관, 스트레스 지수 등 건강 수준을 총합한 건강생활지수는 61점으로 15개 국가 중 9위를 기록했다. 2013년에는 57점으로 최하위였지만 3년 전과 비교하면 그나마 점수와 순위가 모두 올라갔다. 그러나 15개국 평균(64점)에는 여전히 못 미쳤다. 아태지역에서 건강생활지수가 가장 높은 국가는 중국(72점)이었으며, 홍콩은 57점으로 최하위였다.
한국인들은 수면 외에도 체중에도 대체로 만족하지 못했다.
'현재 체중에 대한 만족도' 질문에서 국내 응답자의 74%가 스스로 체중 감량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는 아태지역 평균(48%)보다 26%포인트 높은 수치로, 대만(76%)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성별로는 여성(81%)이 남성(66%)보다 불만족도가 높았다. 원하는 체중 감량 정도는 평균 7.2㎏이었다. 국내 응답자들은 자녀들도 5㎏ 정도의 체중 감량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식습관에서도 매일 아침 식사를 거르는 한국인은 31%로, 아태지역 평균(15%)보다 2배 높았다. '매일 충분한 양의 물을 섭취하는가?' 질문에는 51%만 '그렇다'고 답해 아태지역 평균(68%)을 밑돌았다.
체중 감량을 위해 채소와 과일을 꾸준히 섭취하는 한국인도 40%에 불과해 아태지역 평균(60%)과 차이가 컸다.
한국인의 스트레스 지수는 6.6점으로 아태지역 평균(6.2점)보다 다소 높았다.
스트레스의 원인으로는 가계 재무상황(81%)과 회사 업무(80%), 사회생활(67%), 개인 건강(66%) 등을 꼽았다.
개인 건강과 관련해서는 암 발병(71%)에 대한 걱정이 가장 높았다.
남성은 위암(44%), 간암(38%), 폐암(36%) 발병을 걱정했고, 여성은 위암(44%), 유방암(36%), 자궁경부암(31%) 등 여성 암 발병을 우려했다.
이번 조사는 아태지역 15개 국가에서 18세 이상 성인 1만316명(한국 751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인터뷰 형식으로 진행됐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