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K2 이전 3가지 방안…①K2 이전·대구공항 확장

②K2·대구공항 함께 이전 ③K2 전투비행단 분산배치

28일 대구국제공항으로 여객기가 랜딩기어를 내리며 착륙하고 있다. 우태욱 기자 woo@msnet.co.kr
28일 대구국제공항으로 여객기가 랜딩기어를 내리며 착륙하고 있다. 우태욱 기자 woo@msnet.co.kr

대구 공군기지(K2) 이전 사업이 신공항 백지화로 난항에 부딪히면서 대구시가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숙원사업인 K2 이전을 계획대로 추진하면서도 대구공항의 이전'활용방안을 고민해야 하기 때문이다. 선택지는 ▷K2 이전 및 대구공항 존치'확장 ▷K2와 대구공항 '패키지' 이전 ▷K2 내 전투비행단 분산배치 및 대구공항 존치'확장 등 크게 3가지다.

◆K2 이전 및 대구공항 존치'확장

K2 이전을 계획대로 추진하고 대구공항은 그대로 두고 시설을 보강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의 가장 큰 약점은 재원 마련이 어렵다는 것이다. 현재 공군기지 이전은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진행되는데, 기존부지 개발수익으로 이전기지 건설비용을 감당해야 한다. 하지만 대구공항을 활용하려면 활주로를 철거할 수 없고, 또 고도제한이 적용되기 때문에 기존부지 개발에 제약이 생긴다. 군사기지가 있던 곳을 최대한 개발하더라도 7조원에 달하는 비용을 충당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K2가 이전하게 되면 대구공항은 거점공항으로 도약할 수 있다. 활주로 길이를 늘리고, 여객청사와 주기장 등 시설을 보완하면 경쟁력 있는 공항으로 성장할 수 있다. 민자 유치를 통해 넓은 군사기지 터에 대구를 본사로 하는 저비용항공사 설립도 가능하고, 인근인 경북 영천에 조성 중인 항공산업단지와 연계하면 시너지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입지여건도 김해공항보다 좋다. 대구공항은 도심(시청)과 4.5㎞ 떨어져 있고, 특히 KTX 동대구역과의 거리는 2.3㎞(승용차로 10분)다. 동대구역을 통해 구미와 포항은 물론 경남, 부산, 대전 등지에서도 접근할 수 있어 항공수요 확장에 유리하다. 경부선과 대구~포항선, 대구~부산선 등 고속도로로 접근하기 편하고, 특히 팔공산 IC는 대구공항과 불과 500m 떨어져 있다.

◆K2와 대구공항 '패키지' 이전

K2와 대구공항을 묶어서 함께 이전하는 대안도 거론되고 있다.

이 대안은 비용 측면에서 가장 현실성이 있다. K2 이전 부지의 활주로 길이를 확충하고, 민항 기능을 할 여객청사만 건설하면 돼 추가 비용이 가장 적기 때문이다. 민간공항의 담당은 국토교통부 몫이기 때문에 대구공항 이전 비용을 부담하게 할 수도 있다.

K2 이전 사업비에 반영된 주변지역 지원사업비(2천600억원)를 민간공항 배후시설 조성에 투입하면 인근 지역발전에도 도움이 된다. 나아가 영남권 전체 발전을 이끈다는 밀양의 장점과 같이 대구경북의 균형발전에도 이바지할 수도 있다. 더불어 기피하는 공군시설과 선호하는 민항시설을 묶음으로써 이전 후보지 주변 주민 반발을 줄이는 효과도 얻는다.

패키지 이전의 문제는 이전 후보지를 찾기가 어려워진다는 점이다. 군 공항만 이전할 경우 이륙 각도가 큰 전투기 특성상 활주로 길이가 민간공항보다 짧다. 하지만 민간공항과 함께 사용하려면 활주로 길이를 더 늘려야 한다. 이렇게 되면 인근 산악지형으로 인한 제약이 커지게 된다. 더불어 대구경북 주요 도시의 항공수요를 충족할 만큼 접근성이 좋은 곳이어야 해 최적지를 찾기 어려울 수 있다.

◆K2 전투비행단 분산배치 및 대구공항 존치'확장

절충안도 있다. K2 내 전투비행단을 다른 공군 기지로 분산배치하고, 대구공항은 존치하면서 일부 확장하는 방안이다. 핵심인 전투비행단만 옮기고 나머지 군수사령부나 남부전투사령부 등은 K2 내에 존치한다는 복안이다.

이는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 국방부의 작전계획 변경을 통해서 가능하다. 전투비행단이 사용하던 부지와 활주로를 대구공항으로 편입시킴으로써 민군 겸용에서 민간 전용으로 활용가치가 커진다. 또 활주로 길이를 500m만 늘리면 김해공항(3천200m)과 같아져 국제공항으로 성장할 토대를 마련하게 된다.

문제는 국방부가 국가안보를 이유로 꺼릴 수 있다는 점이다. 전투비행단을 옮기면 그에 따라 군사작전이나 전시 군 공항이용 계획 등을 모두 수정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여러 대안마다 장'단점이 뚜렷해 어느 것이 실현 가능성이 큰지는 자세히 따져봐야 한다"며 "정부가 하루빨리 대구공항의 이전 및 존치 여부를 결정해야지 그에 따라 K2 이전 방향을 세울 수 있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