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소음 피해 10만 명 "K2 가는 줄 알았는데…"

K2이전 4년 노력 '헛고생'…재산권 피해 60만 명 추산

대구시와 국방부가 진행 중이던 대구 공군기지(K2) 이전 논의가 중단되면서 동구 주민들은 분노감을 표출하고 있다.

K2 이전을 통해 수십 년간 피해를 입었던 소음공해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기대감에 들떠 있었고 K2가 이전하면 이전터 개발을 통해 동구 지역 개발이 앞당겨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군공항 이전 특별법까지 제정하고 용역을 거쳐 이전이 확정되는 막바지에 와서 느닷없이 이전 논의가 유보됐다는 소식을 접한 주민들은 믿지 못하겠다는 반응이었다. K2 이전이 힘들다면 소음의 주원인으로 지목받는 11전투비행단만이라도 이전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고, 일부에서는 K2 이전에 걸림돌이 된 정부의 신공항 백지화 결정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정모(46'동구 동촌동) 씨는 "지난 4년 동안 특별법 제정, 이전 부지 개발 용역 등 K2 이전을 위해 많은 노력을 했는데 지금 와서 추진을 유보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정부가 김해공항 확장으로 대구경북을 홀대한 탓에 K2 이전마저 제대로 추진되지 못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은희진 K2소음피해비상대책위원회 부위원장은 "K2 이전 문제가 원점으로 돌아간다면 큰 문제다. 순조롭게 진행되는 줄로만 알았다"며 놀라움을 표했다. 또 "난데없이 이전 논의를 유보하면 주민들이 반발할 수밖에 없고 혁신도시 개발 등 동구전체 발전에도 찬물을 끼얹는 것이다. 정부나 대구시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K2 소음피해로 인해 법적 배상을 받는 인구는 10만 명이 넘는 수준으로, 이들은 변호사를 선임해 국방부와 소음피해 소송을 벌여 배상금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전투기 등 군용기가 연간 7만 회 넘게 이'착륙하는 등 K2 탓에 대구공항은 전국 14개 공항 중 평균 소음도가 가장 높은 지역이다.

재산권 피해도 크다. K2로 인한 고도제한 면적은 62.3㎢이고, 해당 주민은 60만 명으로 추산된다. 이로 인해 K2 주변이 낙후되는 등 대구경북연구원이 산정한 개발피해액은 최소 3조원에 이른다. 또 주변 학교의 경우 전투기 소음으로 학습권에 피해를 받고 있다.

동구청 관계자는 "주민들은 K2 때문에 수십 년 동안 소음피해에 시달리다 최근에 와서야 이전사업이 추진되면서 소음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기대를 가졌다"며 "그러나 신공항 백지화로 인해 K2 이전이 불명확해짐에 따라 자식 세대에만큼은 소음을 물려주지 않으려 했던 주민들의 실망감이 크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