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의 빚이 소득보다 빠른 속도로 늘면서 빚에 허덕이는 한계가구가 134만 가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은행이 아닌 제2금융권의 여러 금융회사에서 고금리로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나 저소득 대출자가 갈수록 늘고 있다. 한계가구는 금융부채가 금융자산보다 많고 처분 가능한 소득 대비 원리금(원금과 이자) 상환액 비중이 40%를 넘는 가구를 말한다.
30일 나온 한국은행의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3월 말 기준 한계가구는 전체 금융부채 보유가구(1천72만 가구)의 12.5%에 해당하는 134만 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1년 전보다 4만 가구가 늘어난 것으로 이들이 떠안은 빚은 전체 금융부채의 29.1%에 이른다. 이 중 이자가 가처분소득에 비해 많은 가계부실위험지수(HDRI)가 100을 초과하는 부실위험가구는 지난해 3월 말 현재 111만 가구로 1년 전보다 3만 가구 증가했다. 이는 전체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10.4%에 해당한다.
특히 한계가구와 부실위험가구로 중복 산정된 가구가 54만 가구임을 고려하면 137만 가구는 금융부채가 많아 위험한 상황에 처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은 양쪽에 중복 산정된 가구 중 저소득층(40%), 40대(38.5%), 자영업자(34.2%) 계층이 많이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앞으로도 한계가구가 훨씬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소득 증가보다 빚 증가 속도가 훨씬 빨라서다. 실제 국내 가계가 처분할 수 있는 소득 대비 가계부채의 비율은 지난 3월 말 현재 145.6%였다. 6개월 전인 지난해 9월 말(140.7%)보다 4.9%포인트(p) 올랐다. 이는 2005년부터 10년간의 연평균 상승폭(3.1%p)을 크게 웃도는 급증세다. 반면 저금리 덕에 가계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부채상환지출 비율은 지난해 4분기 36.9%로 1년 전(37.7%)보다 0.8%p 하락했다.
한계가구에 대한 금융권의 시각도 갈수록 차가워지고 있다. 은행에서 대출을 받지 못한 저소득'저신용 차주들이 비은행 금융기관으로 몰리면서 보험, 저축은행 등 비은행 금융기관의 가계대출이 증가 중이다.
CEO연구원 고건영 컨설팅 팀장은 "지난해 이미 가계부채가 사상 첫 1천200조원을 넘어서면서 위험신호가 들어왔다. 소득보다 부채의 증가 속도가 빨라 더 큰 문제다. 결국 우리 경제의 발목을 잡으면서 금융불안과 경기침체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대선 출마하나 "트럼프 상대 할 사람 나밖에 없다"
나경원 "'계엄해제 표결 불참'은 민주당 지지자들 탓…국회 포위했다"
홍준표, 尹에게 朴처럼 된다 이미 경고…"대구시장 그만두고 돕겠다"
언론이 감춘 진실…수상한 헌재 Vs. 민주당 국헌문란 [석민의News픽]
"한동훈 사살" 제보 받았다던 김어준…결국 경찰 고발 당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