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K2 해법, 정부·국회·市 합동회의 열자"

권 시장·의원 11명 서울회동 성명서

남부권신공항범시도민추진위원회 회원들이 1일 오후 대구시청 앞 광장에서 김해공항 확장안 설득을 위해 권영진 시장을 만나러 온 최정호 국토부 2차관에게 항의하는 뜻으로
남부권신공항범시도민추진위원회 회원들이 1일 오후 대구시청 앞 광장에서 김해공항 확장안 설득을 위해 권영진 시장을 만나러 온 최정호 국토부 2차관에게 항의하는 뜻으로 '김해공항이 신공항 맞나?' 피켓을 바닥에 내려놓은 채 침묵시위를 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msnet.co.kr

권영진 대구시장과 대구지역 국회의원들이 영남권 신공항에 대한 정부의 김해공항 확장안 발표와 관련 국토교통부, 국방부, 기획재정부 등 관련 중앙부처 장관과 국무총리실, 청와대 수석 등이 참여하는 합동회의 개최를 요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1일 오전 국회의원회관에서 간담회를 갖고, 정부의 영남권 신공항 백지화 발표에 따른 K2 공군기지 이전과 대구공항 존치 대책을 논의했다. 정부가 영남권 신공항 용역 결과로 김해공항 확장안을 내놓을 때 '대구공항 유지안'을 함께 밝히면서 K2 이전 해법이 복잡해졌기 때문이다.

회의에서 권영진 시장과 대구지역 국회의원 11명은 정부'국회'대구시가 합동회의를 열어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내용의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국토교통부와 국방부, 기획재정부 등 각 부처가 대책을 마련하기는커녕 서로 책임을 떠넘기자 한자리에 모여 해법을 찾아야 한다며 한목소리를 낸 것이다.

대구시장과 국회의원들은 성명서를 통해 "신공항 용역에 대한 검증이 끝나기 전에는 김해공항 확장안에 대해 수용할 수 없음을 분명히 밝힌다"며 "정부의 대구공항 존치 결정으로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진행하는 K2 군사공항 이전은 대구공항이 K2와 함께 이전하지 않는 한 사실상 불가능하게 됐다. 이에 대한 정부의 분명하고 신속한 대책 마련을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추진되고 있는 K2 이전 사업의 경우 기존 부지 개발 수익으로 이전기지 건설 비용을 부담해야 하지만 대구공항을 존치하게 되면 활주로를 철거할 수 없고, 고도제한이 적용돼 부지 개발에 제약이 많기 때문이다.

이에 시장과 국회의원들은 합동회의에 참석해야 할 정부 인사를 조목조목 거론했다. 국토부와 국방부, 기재부는 각 부처 장관이 참석하고, 총리실 대표는 국무조정실장, 청와대는 전체를 컨트롤할 수 있는 수석이 나와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민간공항은 국토부, 군사공항은 국방부, 재원은 기재부, 이를 총괄 조정하는 것은 국무총리실이니 모두 모여 합동회의를 해야 한다"며 "정부가 우리의 뜻을 이해한다면 책임 있는 장관이 나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장관들이 한자리에 모여 대책을 논의해야 다른 부처 일이라며 서로 떠넘기는 일을 막을 수 있고, 대구공항 존치, K2 이전 약속도 받아낼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권영진 시장과 국회의원들은 정부 측과 일정을 조율한 뒤 2주 내에 합동회의를 개최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대구시와 대구경북 국회의원 5명으로 구성된 검증단은 신공항 용역 타당성 검증 작업에 나섰다. 정부가 여러 차례 불가능하다고 발표했던 김해공항 확장이 갑자기 가능해진 이유와 안정성 문제, 김해공항이 영남지역 장래 항공수요인 4천만 명을 수용할 수 있는지 등을 꼼꼼히 검증한다는 계획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