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울진~경주 동해안 지질공원 우수성 알릴 300㎞ 장정 출발

경북도·동해안 5개 시·군 공동개최, 전국서 100여 명 참가 전문가 동행

경상북도와 동해안 5개 시·군이 공동 개최한
경상북도와 동해안 5개 시·군이 공동 개최한 '동해안 지질 대장정'이 4일 발대식을 하고 10박 11일간의 대장정에 들어갔다. 이번 여정에 포함된 경주 양남 주상절리의 모습. 경북도 제공

경상북도와 동해안 5개 시'군(포항'경주'영덕'울진'울릉)이 공동 개최한 '동해안 지질 대장정'이 4일 울진관광호텔에서 발대식을 하고 10박 11일간의 여정에 올랐다.

동해안 지질 대장정은 공모를 통해 선발된 전국 100여 명의 참가자를 비롯해 경북도와 시'군 관계 공무원, 지질 전문가 등 130여 명이 참여한다. 이번 대장정은 동해안 지질공원의 우수성을 알리고자 마련됐다.

대장정 참가자들은 5일 성류굴을 시작으로 경북 동해안 지질공원의 부정합, 영덕 해맞이 공원, 내연산 12폭포, 호미곶, 골굴사, 양남 주상절리 등 아름다운 동해안의 절경을 느끼며 300㎞ 여정을 소화하게 된다. 이후 다시 포항에서 배를 타고 뱃길 따라 독도까지 들렀다가 13일 오후 울릉에서 대장정의 막을 내린다. 경북도는 이번 일정 동안 지질 전문가와 지질 해설사를 동행하게 해, 참가자들에게 동해안의 여러 지질 명소에 대한 전문적인 설명과 함께 지역의 역사, 문화, 생태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동해안 지질공원은 경북도 동해안 4개 시'군의 해안과 낙동정맥 산림, 계곡을 따라 조성돼 있다. 울진에서부터 해안을 따라 경주까지 내려오면서 선캄브리아기 지층부터 신생대 지층까지 지질시대가 젊어지는 특징을 보인다. 따라서 대장정 참가자들은 20억 년이 넘는 태고에 생성된 지층을 시작으로 가장 최근에 만들어진 신생대 지층까지 차례로 체험할 수 있다. 또한 울릉도, 독도 지질공원에는 주로 신생대 제3기와 제4기에 일어난 화산활동으로 생긴 주상절리, 알봉, 나리분지 등과 해안 침식작용으로 생성된 독립문 바위, 코끼리 바위 등 여러 지질 명소가 있다.

이번 대장정은 전국 최초로 하는 프로그램으로 기존 국토 대장정과 동해안권 2개 지질공원 지오투어리즘(지질관광)을 접목한 것이다. 지질 대장정은 하루 평균 25㎞를 이동하며, 총 300㎞ 중 일부 구간은 버스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기존 국토대장정보다 난도가 낮아 10대부터 60대까지 다양한 연령대가 참여할 수 있다.

조남월 경북도 환경산림국장은 "앞으로 동해안 지질공원과 울릉도, 독도 지질공원의 내실 있는 운영을 위해 힘쓰고, 우수한 지질공원을 활용한 동해안권 통합관광 활성화를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